이날 간담회는 지난해 9월 개최된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회의에서 김혜영 의원이 유당불내증 등 특정 식품군에 대해 알레르기 증상을 느끼는 학생들을 위한 대체 식단을 교육청이 의무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요청했던 것을 계기로 마련됐다. 이날 서울 관내 영양교사들은 김 의원 및 간담회에 참여한 서울시교육청 체육건강예술교육과장을 향해 ▲다양한 식품알레르기 원인 식품으로 인한 개별 관리의 한계점 ▲부족한 조리 공간 및 인력 부족으로 인한 업무량 증가▲무분별한 학부모 민원▲알레르기 유발 식품에 대한 학생의 경각심 부족 등에 따른 애로사항을 호소하고 이와 관련해 시의회 차원에서의 대책 마련과 함께 조례 제·개정을 통한 식품 관리체계 개선안 마련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학교 급식실 공간 부족, 조리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영양교사들이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라며, “오늘 간담회가 단순히 알레르기 대체식 제공 관련 방안 마련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인 학교급식 관리 방안을 모색해보는 계기로 작용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학교 차원에서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들에 대한 모든 해법을 내놓을 수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학부모의 협조가 매우 중요해 보인다”라며 “학교에 신입생이 입학하게 되면 사전에 학부모들의 협조를 얻어 지금보다 알레르기 유병 학생들에 대해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된 무분별한 민원을 줄이기 위해 학부모와 학생을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관련 교육도 의무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 김 의원은 “지난해에도 일반 학교에서도 조식이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과정에서 미리 영양교사분들과 간담회를 가지고 그들이 겪는 고충을 파악한 뒤 해당 사항을 조례 제정안(서울시교육청 조식 지원에 관한 조례안)에 반영한 바 있다”라며 “오늘 이 자리에서도 식품 알레르기 대체 식단을 마련해야 하는 영양교사분들이 겪고 있는 각종 애로사항을 확인했으니 이에 대한 해법 마련을 위해서도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