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교사 484명 설문조사
“국가 차원 성평등 교육 목표 없어
성평등 교육 지원 체계 만들어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8일 세계 여성의 날 116주년을 맞아 지난달 26일부터 지난 4일까지 전국 유·초·중·고교와 특수학교 교사 4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교사 63.2%는 학교 성평등 교육의 문제점과 관련해 ‘성평등 교육·성교육·폭력 예방 교육이 중복되고 체계 없이 추진된다’는 지적에 동의했다. ▲실천 의지 없이 기계적이고 형식적으로 학교 성평등 담당교사 지정 ▲성폭력, 성 비위 사안 처리에 집중된 학교 성평등 교육정책 ▲국가 차원의 성평등 교육 목표·개념·교육과정 부재가 문제라고 지적한 응답자도 각각 50% 이상이었다.
교사 10명 중 9명은 성평등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하지만 ‘성평등 관련 교육과정의 목적과 내용이 명확하지 않아 수업을 준비하기 곤란하다’는 문항에 92.8%의 교사들이 동의했다. 또 교사 88.8%는 학교가 교사의 성평등 수업을 지원·보장하는 시스템이 없다고 인식해, 대다수가 교사의 성평등 수업이 제도적으로 지원받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전교조는 “성평등 교육에 있어 국가·학교 차원의 기준과 지원방안, 보장대책 등 구조적 뒷받침이 거의 없다”며 “교육 당국이 성평등 교육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성평등 수업에 따른 민원이나 갈등 발생 시 교사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분절적으로 시행되는 성교육과 성폭력 예방 교육을 포괄한 ‘통합적인 성평등 교육’을 시행하고 ▲성평등 교육법 제정 ▲교육청 내 성평등종합지원센터 운영 ▲학교급별 성평등 교육 교육과정 개발도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김지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