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마크 매출액은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2020년 8,434억 원까지 떨어졌다가 2021년 9,000억 원, 2022년 9,465억 원에서 지난해 9,791억 원을 기록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9,868억 원 대비 99.2%까지 회복됐다.
2023년 기준 경기도 내 G마크 경영체는 26개 시군에 337개 업체가 있으며 1,850개 품목을 판매하고 있다.
G마크의 품목별 비중은 축산물이 3,935억 원(40.2%)으로 가장 높았고, 곡류 1,978억 원(20.2%), 김치류 1,068억 원(10.9%), 과실류 554억 원(5.7%), 버섯류 501억 원(5.1%), 채소류 379억 원(3.9%) 순으로 집계됐다.
유통 형태별 비중은 급식(31.6%)이 가장 높았고, 농축협(16.8%), 기타(온라인판매, 군납, 프랜차이즈 납품) 13.9%, 도매시장(13.6%), 대형마트(10.7%), 백화점(1.7%), 수출(0.6%) 순이다.
도는 올해 G마크 인증 경영체 홍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 ‘마켓경기’를 통해 시군별 대표상품 농특산물 제작 판매 등의 할인 이벤트를 계획 중이다.
특히 신설 조항 중 인증 효력 정지의 경우 G마크 인증 경영체의 먹거리가 유통 현장에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킬 수 있을 경우 G마크 인증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경기도우수식품(G마크)은 경기도 내에서 생산한 농산물·축산물·수산물·임산물이나 이를 원료로 한 제조, 가공, 포장한 가공식품 중에서 경기도지사가 그 품질을 인증한 것이다.
안승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