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창신동, 오세훈표 ‘신통기획’ 확정… 640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전봇대 없는 거리로 거듭난 서초중앙로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숲 보며 책 보며… 성동 힐링 공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대문을 깨끗하게 해 주셔서 감사해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세계 1위’ 안세영 9억 벌 때…“든든하다” 인도 선수, ‘97억’ 잭팟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5일(현지시간) 파리 라 샤펠 아레나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단식 결승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안세영이 시상식에서 메달에 키스하고 있다. 2024.8.5 파리 박지환 기자
2024 파리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단식 금메달리스트 안세영(22·삼성생명)이 “선수들이 경제적으로 정당한 보상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며 문제 제기에 나선 가운데, 안세영과 대조적으로 인도의 배드민턴 선수 푸사를라 벵카타 신두(29)의 높은 수입이 조명되고 있다.

13일 세계배드민턴연맹(BWF)에 따르면 세계 랭킹 1위 안세영은 지난해 월드투어 8개 대회 우승과 파이널 4강 진출로 상금 62만 8020달러(약 8억 6000만원)를 획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세영이 현재까지 BWF 월드투어 대회에서 벌어들인 상금 총액은 145만 8291달러(약 19억 9000만원)다.

안세영의 현재 연봉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입단 3년 차인 지난해까지 ‘계약금·연봉 상한제’를 적용받았다. 한국실업배드민턴연맹의 현행 규정은 신인선수의 계약 조건을 구체적으로 제한하고 있다.

계약 기간의 경우 대졸 선수는 5년, 고졸 선수는 7년으로 고정돼있다. 계약금은 각각 1억 5000만원, 1억원을 넘길 수 없다. 입단 첫해 연봉은 대졸 선수가 6000만원, 고졸 선수가 5000만원이 상한액이다. 이후 3년 차까지 연간 7% 이상 올릴 수 없다.

다만 입상 포상금 등 각종 수당은 연봉과 별개다. 외부 광고 수익은 각 팀 내규에 따라 처리된다.

안세영은 현재 삼성생명 입단 4년 차이기 때문에 이 규정을 적용받고 있진 않다. 다만 규정에 따라 입단 1년 차인 2021년엔 연봉 5000만원을 받았고 연봉 상승률은 3년 차까지 매해 7%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세계 13위’ 신두, 지난해 97억원 수익

2024 파리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단식 경기를 펼치고 있는 인도의 푸사를라 벵카타 신두(29). AP 연합뉴스
이에 비해 세계 랭킹 13위 신두는 지난해 710만 달러(약 97억원)를 벌어들여 미국 체조 스타 시몬 바일스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수입이 높은 여성 선수 16위에 올랐다고 포브스는 밝혔다. 특히 신두의 상금은 10만 달러(약 1억 3000만원)에 불과했지만 상금 외 수입이 700만 달러(약 96억원)에 달했다.

포브스는 “올림픽 메달리스트이자 2019년 배드민턴 세계 챔피언인 신두는 인도의 마케팅 능력 덕분에 여성 수입 순위에서 든든한 자리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신두는 2016 리우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단식 은메달에 이어 2020 도쿄 올림픽 동메달을 땄다.

안세영 “스폰서나 계약적인 부분 풀어줬으면”안세영은 최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광고가 아니더라도 배드민턴으로도 경제적인 보상을 충분히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스폰서나 계약적인 부분을 막지 말고 많이 풀어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배드민턴계에서는 안세영의 입장을 이해하면서도 비인기 종목 특성상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다는 의견이 많다.

배드민턴협회는 공식 후원사로부터 받은 현금과 용품으로 안세영뿐 아니라 전체 대표팀 선수들과 주니어 선수들을 지원한다. 그런데 만약 후원 계약을 선수 개개인의 차원으로 돌린다면 비인기 선수들과 꿈나무들에 대한 지원 규모는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

연맹 규정도 마찬가지다. 연봉과 계약금이 선수 개개인의 능력에 비례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전체 파이를 어느 정도 유지함으로써 총 300여명의 실업 선수가 운동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연맹은 계약기간을 단축하고 계약금과 연봉 상한액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연맹 관계자는 “지난해 논의를 시작했고 올해 개정해 내년부터 적용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내부 의견 비중에서 높진 않지만, 해당 규정을 아예 폐지하자는 의견도 있다”고 전했다.

윤예림 기자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