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연속 집단폐사...규모 300t 달해
협의 거쳐 올해 ‘조건부 일시적 조업’ 허용
시, 살아 있는 정어리 최대한 포획·자원화
창원시는 “지난 2년 피해를 교훈 삼아 6월 ‘정어리 집단폐사 재발 대응 대책’을 수립했고, 이에 따른 세부 시행계획을 3단계로 나눠 추진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시가 말하는 3단계 세부 시행계획 중 1단계는 징후감지 단계다. 정어리 발생 동향과 어획량 등을 상시 감시하는 게 핵심이다. 2단계는 초기대응 단계로 살아있는 상태 정어리를 최대한 포획해 건제품·생사료로 자원화하는 단계다. 폐사 발생 때 시행하는 3단계는 신속 수거로, 시는 3단계로 넘어가지 않도록 2단계 이행에 집중하고 있다.
시는 지난 7월부터 연안선망·관내 정치망을 활용해 창원시 연안 일대에서 하루 평균 최대 600톤에 이르는 정어리를 사전 포획하고 자원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마산항은 항만구역 내 조업이 허용되지 않아 사전포획이 불가능했지만, 창원시·경남도·마산해양수산청·마산항해양교통관제센터 등이 제도 개선 협의를 거쳐 올해 조건부 일시적 조업(마산항 항만구역 내 정어리 유입 때, 9월 30일~10월 31일, 연안선망, 하루 최대 3선단)을 할 수 있게 됐다. 시는 해당 기간 정어리 사전포획 규모를 확대해 집단폐사를 원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2022년과 2023년 마산 앞바다에서는 정어리 집단폐사가 발생했다. 집단폐사 규모는 2022년 226톤, 지난해 46톤으로 집계됐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집단폐사 원인을 ‘산소부족에 의한 질식사’라고 결론 냈었다. 산소 소비량이 많은 정어리가 산소부족 물 덩어리가 있는 반 폐쇄성 해역에 대량으로 들어와 산소부족으로 질식사해 집단폐사 했다는 것이다.
산소부족 물 덩어리(빈산소수괴)는 해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은 반 폐쇄성 유역에서 저층에 퇴적된 유기물의 미생물 분해 과정에서 용존산소(물과 같은 용액 속에 녹아 있는 산소량)가 소모돼 발생한다. 수온 변화와 해수 유동에 따라 규모와 강도 등이 바뀐다.
창원 이창언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