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 제자 향한 따뜻한 시선 담아
이소호, 좋은 시 쓰기 위한 분투기
이훤, 경계 넘나드는 깊숙한 사유
시인은 시로 독자에게 말을 건다. 그러나 시라는 게 보통 어려운 글인가. 시를 쓰고 시집을 내다가도 문득 과연 내 시가 독자에게 제대로 닿고 있는지 의심이 들 때가 있다. 시인이 산문을 쓰는 건 아마 그때일 것이다.
이원(56) 시인의 ‘물끄러미’(난다)는 지금 딱 읽기 좋은 ‘제철 에세이’다. 11월은 애매하다. 가을이라고 하기에는 쌀쌀하고 겨울이라고 하기에는 따뜻해서다. 이원은 11월을 “모든 것을 소란스럽지 않게 잠재우는 환함과 어둠을 갖고 있는”(31쪽) 달이라고 했다. 확실히 시인의 설명이라 다르긴 다르다. 시 창작반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느낀 소회를 적은 글이 울림 있게 다가온다.
“문학을 하겠다는 아이들의 질문을 열어 보는 순간은 마치 밀푀유의 단면을 클로즈업으로 맞닥뜨리는 것 같다. 고요함과 아이들의 눈빛은 늘 등가로 있고, 나는 그 둘을 예민하게 읽어내려 온 힘을 다하는 것이 수업의 풍경인데, 내가 가닿지 못한 이런 깊은 뒤척임들이 있었구나, 오늘 알게 된다.”(118쪽)
“작가로서 쓰면서 느끼는 게 있다면, 내가 포기하지 않는 이상 이 글들은 죽지 않았다는 것이다. 살아 있다. ‘쓰다 만 글’이라고 해서, 실패작들이 모여 있는 것만은 아니라는 확신이 든다.”(112쪽)
이훤(37) 시인의 산문 ‘눈에 덜 띄는’(마음산책)은 경계를 넘나드는 디아스포라로서의 사유가 깊숙이 스며든 책이다. 이훤은 시인이자 사진가로 활동한다. 미국 조지아공대에서 기계공학을, 시카고예술대학에서는 사진학을 공부했다. 시와 사진을 아울러 생각하고 모국어와 외국어의 경계를 고민하는 감수성을 글에 담아낼 수 있는 이유다. 그래서인지 그는 책 제목처럼 눈에 덜 띄는 것, 보이지 않는 것에 관심이 많다.
“보이지 않아도 연결돼 있다는 믿음을, 나 또한 여러 번 연습해왔다.”(49쪽)
오경진 기자
2024-11-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