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 전 도민 ‘기후보험’ 시행, 예산 34억 확보
국내 최초의 기후 데이터 수집 ‘초소형 인공위성’ 발사 추진
‘기후펀드(공공주도 재생에너지 이익공유제)’ 2분기 도입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과 경제적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지속 가능한 ‘기후경제’ 전환을 목표로 ‘기후경기 3대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경기도는 이달(3월)부터 전국 최초로 ‘기후보험’을 시행한다. 기후보험은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모든 도민이 자동으로 가입되며 온열질환·한랭질환 진단비, 감염병 진단비, 기상특보 관련 4주 이상 상해 시 사고 위로금을 정액 지원한다. 기후취약계층(시군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약 16만 명은 기후 관련 질병 입원비와 교통비 등을 추가로 받는다. 약 34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또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우주 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기후위성 개발·발사 프로젝트도 본격화한다. 3월 중 최종 사업자를 선정하고, 국내 최초로 기후 데이터 수집을 위한 초소형 인공위성 발사를 추진한다.
경기도는 기존 국가 주도의 연구개발(R&D) 방식이 아닌 민간 주도로 추진되는 기후위성 발사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면서 정밀한 기후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올해 2분기 이내에 ‘기후펀드(공공주도 재생에너지 이익공유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도내 미활용 국공유지를 활용해 경기도주식회사가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건립하고, 발전 수익 일부를 지역 주민들에게 환원하는 구조다.
김동연 지사는 지난 26일 ‘기후경제 대전환 3대 전략’을 발표하며 “기후위기는 대한민국 경제의 위기”라며 “더 이상 뒤처져서는 안 된다. 이제는 기후경제로 대한민국 경제를 대전환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안승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