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순이익 추정치… 13% 늘어
KB 1.6조 이어 신한·하나·우리順금리 인하기 생긴 이자이익 덕분
KB·신한·하나·우리 4대 금융지주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이 4조 7000억원대로 추정됐다. 1년 전보다 약 13% 늘어난 규모다. 특히 KB금융은 50% 넘게 증가해 1분기 기준 역대급 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의 2025년 1분기 지배주주 순이익 추정치는 총 4조 7795억원이다. KB금융 1조 5914억원, 신한지주 1조 4211억원, 하나금융 1조 182억원, 우리금융 7488억원 순이다. 4대 금융의 순이익 합계는 지난해 1분기(4조 2291억원)와 비교해 약 13% 늘었다.
금리 인하기 예대금리차(예금과 대출의 금리 차이)가 벌어지며 생긴 이자 이익 덕분이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과 11월, 올해 2월 세 차례 기준금리를 낮췄지만 4대 은행의 예대금리차는 7개월째 벌어졌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내리기 시작한 지난해 10월만 하더라도 4대 은행의 예금 상품 금리(1년 만기 기준)는 연 3% 중반 수준이었지만 지난달 2% 후반으로 내려앉았다. 반면 대출금리는 여전히 4%대다.
1분기 기준 사상 최대 순이익을 기록했던 2023년(4조 8991억원) 수준에는 소폭 못 미치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당시에도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예대금리차 확대로 호실적을 거뒀다.
1분기 실적을 지주별로 살펴보면 KB금융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순이익이 1조 491억원에서 1조 5914억원으로 약 5000억원(51.7%)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홍콩 주가연계증권(ELS) 손실(약 5460억원 규모) 처리에 따른 기저효과이지만 KB금융이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2023년 1조 5087억원보다도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신한금융은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7.5% 상승했다. 하나금융은 1.6%, 우리금융은 9.1% 각각 하락한 것으로 예상됐다.
박소연 기자
2025-04-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