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시설 설치와 최신 감지 시스템 구축 등 대책 마련해야
전남 여수지역의 흥국사와 향일암이 심각한 화재 위험에 노출돼 소방 안전 시스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수시의회 송하진 의원은 제245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우리 지역의 대표 문화재인 흥국사와 향일암이 심각한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소방 안전 시스템의 전면적인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 전국적으로 대형 산불이 연이어 발생하며 많은 문화재가 소실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흥국사와 향일암 등 여수지역 문화재도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고 말했다.
특히 “보물 11개와 전남도 지정문화재 5개 등이 있는 흥국사는 천년의 역사를 지닌 사찰로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은 데도 계곡물 60톤에 의존한 화재 대응 시스템과 노후화된 소화 펌프, 부식된 소화전 등 열악한 환경에 방치돼 실제 화재 발생 시 대응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소화수 저장용량 부족과 협소한 소화 호스 등은 명백한 행정 관리 미비”라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또 “2009년 방화로 주요 건물이 전소된 향일암 같은 비극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며 “수도시설 설치와 최신 감지 시스템 구축과 방화선 설치 등의 근본적인 소방 인프라 개선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여수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