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율 관세 부과와 글로벌 수요 둔화 등 복합적 위기
전남 광양과 순천지역의 철강산업이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와 글로벌 수요 둔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전남도가 철강산업 위기 대응 위한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글로벌 수요 둔화로 2024년 4분기 광양산단의 철강 생산량은 2023년 같은 기간에 비해 4.69%, 2022년 같은 기간에 비해 8.81%가 감소하는 등 갈수록 줄어드는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와 글로벌 수요 둔화, 탈탄소 전환 가속화, 중국산 저가 수입재 확대 등 복합적 위기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지난 4월 ‘철강산업 위기대응 민관 협의체’를 구성한 전남도는 지난 14일 첫 회의를 열고 철강산업의 구조적 위기 상황을 공유하고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전남도는 먼저 철강산업의 위기 극복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정부에 공식 건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선제적 산업위기 대응을 위해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총 10억 원 규모의 ‘철강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광양만권 소재 중소·중견 철강기업을 대상으로 공정개선과 시제품 제작, 맞춤형 컨설팅 등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산업 경쟁력 강화 기반 마련을 위해 탄소감축 기술개발 지원과 철강 디지털전환 실증센터 구축 등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탄소중립형 제조공정 전환과 고부가 소재·제품 개발을 지원한다.
또 탄소국경세와 통상관세 등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기업 건의사항을 정부에 지속 전달하고 있다.
구조조정 지원과 규제 특례를 포함한 ‘국가기간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을 차기 정부 대선공약 과제에 포함시켜 정부 차원의 종합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원체계도 마련할 계획이다.
소영호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위기대응협의체는 전남 철강산업 위기 극복과 민관 협력의 발판”이라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과 특별법 제정 등을 적극 건의하고 지역 산업의 재도약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