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소방·교육청·도 복지여성국 영유아 안전을 위해 뭉쳐
유치원·어린이집 119신고 때 시설 세부정보 자동 표출
경남소방본부는 도내 유치원·어린이집 등 영유아시설 긴급상황으로 119신고가 접수됐을 때 해당 시설 세부 정보가 자동으로 표출되는 ‘영유아시설 안전시스템’을 6월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22일 경남소방본부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경남교육청과 경남도 복지여성국이 협업해 구축했다. 사전 등록된 전화번호로 119에 신고했을 때 시설 명칭과 유아·교직원 수, 건물 구조, 관리자 연락처, 화기 취급 장소 등 주요 정부가 신고접수시스템에 곧바로 연동되는 게 핵심이다.
경남소방본부는 이 시스템 가동으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출동 지령을 내릴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출동 단계 때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은 대원들의 현장 대응력도 강화되리라 봤다. 또 교사의 신고 부담 감소와 골든타임 확보에도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경남소방본부는 도내 유치원·어린이집 1526곳 중 희망 시설을 대상으로 시스템 등록을 추진 중이다. 창원시에 있는 683개 시설은 창원소방본부에서 별도 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이동원 경남소방본부장은 “이번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은 등록된 전화번호로 신고 때 기존 기지국 기반 위치 정보보다 훨씬 정확한 주소 정보가 즉시 표출된다는 점”이라며 “신고자가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 어렵거나 긴급한 상황에서도 119 상황 대원이 시설 정보를 바탕으로 신속하게 접수하고 출동 조치할 수 있다. 재난 초기 대응 역량 강화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창원 이창언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