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재난지역 ‘피해 예측치’로 판단 건의
임신한 젖소 유산 지원 등 도민 상실감 공감하는 지원
“소 잃고 외양간이라도 고쳐라” 주민 불안 해소 위한 신속 정비
“돌다리도 두드려라.” 수습․구조 과정 안전 강조
21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성중 행정1부지사, 김재병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등이 집중호우 피해의 신속 수습·복구 지원을 위한 긴급대책회의를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1일 집중호우 피해의 수습-복구 지원을 위한 ‘긴급대책회의’에서 “소 잃고 외양간이라도 고쳐야 한다”는 등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을 특별히 당부했다.
김 지사는 첫 번째, “(가평 외에) 포천지역도 피해가 크다”면서 “특별재난지역에 (행정)경계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배석했던 간부들에게 되물었다. 현행 제도상 피해 규모가 기준보다 미달하면 중앙정부가 선포하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인정되지 않아, 실제 피해가 커도 지원 대상에서 빠지는 지역이 발생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또한 김 지사는 “어제(20일)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과의 통화에서 피해조사 시 ‘결과’를 가지고 하지 말고 ‘피해 예측치’를 가지고 하자고 의견을 같이했다”라고 전하면서 “피해 결과로 산정하면 기간이 한참 걸릴 테니, 예측 내용을 가지고 빨리 지급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김 지사는 ”현장을 다녀보니 벼들이 쓰러져 있고 비닐하우스가 날아간 데도 눈에 띄더라. 어느 축산농가에선 소가 떠내려갔다고 하고 젖소농장에선 임신한 소들이 많던데, 아프다더라. 그러면 스트레스로 인해 유산 등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향어, 송어, 우럭 등의 양식도 마찬가지인데 (정부 정책) 보험 처리가 안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21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김성중 행정1부지사, 김재병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집중호우 피해의 신속 수습·복구 지원을 위한 긴급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
세 번째, 김 지사는 “어제 대보교(가평)에 가보니 버드나무 뽑기나 준설이 안 돼 피해가 커졌다고 주민들이 말하더라”라면서 “피해 후라도 바로 준설 등의 조치를 해야 주민들이 안심하실 것”이라며 “피해 지역은 소하천 지원 우선순위에 넣을 수 있게 해달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소 잃고 외양간이라도 고쳐야죠”라고 강조했다
네 번째, 김동연 지사는 만약 헬기 안전사고가 난다든지, 도로가 잘못돼서 무슨 사고가 있다면 “그건 재난이 아니라 인재성 2차 피해”라고 강조하면서 “육안으로 봐선 이상 없는 다리나 도로라 해도 ‘돌다리도 두드린다’는 자세로 점검하면서 구조활동에 나선 요원들의 안전에 특히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안승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