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수 서초구청장 “AI 교육+인성교육 함께”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소중한 ‘내 방’… 앞으로 자립도 하고 싶어”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부산 아이들 책임지고 키우는 ‘부산형 늘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전국 최초 ‘재난대응 물품 비축소’ 경기 부천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주간 주요 방역지표 동향 분석(1.16.~1.22.)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주간 주요 방역지표 동향 분석(1.16.~1.22.)

◈ 오미크론 확산으로 전 세계 역대 최다 발생 지속, 1,800만명 이상 발생
- 미국 발생 소폭 증가, 이스라엘 및 인도 2주 연속 발생 급증, 일본 전 주 대비 4배 증가 등 확산 지속
- 다만, 우리나라 위중증 환자 수는 1.20일 기준 488명으로 400명대로 진입한 데 이어 1.21일 기준 431명으로 21.12.29 1,151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지속 감소세


◈ 오미크론으로 확진자가 늘고 있으나, 병상은 충분하고 의료역량도 안정적 유지 중
- 중증·준중증 병상 1.21일까지 1,637개 추가 확보 등 계획한 목표 달성
- 중증 병상 가동률은 20.4%로 크게 하락, 준중증 및 전담병원 병상가동률은 30% 초반으로 안정적 유지 중
* 중증(1.15. 33.8% → 1.22. 20.4%), 준중증(1.15. 36.4% →1.22. 32.9%),감염병 전담병원(1.15. 28.8% → 1.22. 31.9%)


◈ 설 연휴 전 신속한 3차 접종 필요
- 3차 접종시 오미크론주에 대한 중화항체가 10배~29배 증가
- 3차 접종이 인구대비 84.3%(1.21일 기준)가 넘은 60세 이상의 경우 전체 확진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감소(12월 2주 33.5% → 1월 2주 12.7%)
- 미접종자의 중증화율은 3차 접종 완료 후 확진군 대비 11배, 2차 접종 후 확진군 대비 5배 높게 나타나 3차 접종 위중증 예방효과 확인



1.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하여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이 20.0% 증가하며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1.10.∼1.16. 1주간 전 세계 신규발생은 1,873만명(WHO 기준)으로 전 주 대비 20.0% 증가하며 역대 최다 발생이 지속되고 있다.


* (2주) 확진 18,739,636명(+20.0%), 사망 45,543명(+4.2%)



- 미국은 3주 연속 주간 발생이 50% 이상 증가 이후 최근 1주 소폭 증가하였다. 18~29세 발생률은 1,427명(10만 명당)으로 12월 중순부터 전 연령 중 최다를 기록하였고, 주간(1.2.~1.8.) 입원율 14.9명(10만 명당)으로 전 주 21.5명 대비 감소하였다.


* 미국: (2주) 확진 4,688,466명(+1.4%), 사망 10,412명(-4.6%)


- 이스라엘은 최근 2주간 확진자가 폭증하였고,


* 이스라엘: (2주) 확진 288,708명(+156.9%), 사망 43명(+104.8%)


- 인도는 최근 2주 발생이 급증하였고, 오미크론 확진자가 7,743명(1.16.)을 기록하였다.


* 인도: (2주) 확진 1,594,160명(+149.5%), 사망 2,276명(+12.7%)


- 일본의 경우 전 주 대비 4배 이상 발생이 증가하였고, 도쿄의 병상사용률이 7%(1.6.)에서 15.1%(1.13.)로 증가하였으며, 오미크론 확진자가 84%를 차지하였다.


* 일본: (2주) 확진 95,498명(+312.2%), 사망 29명(+222.2%)


주요 7개국 주간 확진자 수(인구 100만 명당) 변화(’21.6.6.∼’22.1.16, WHO: 본문 참조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22.1.17. 기준, WHO, our world in data)】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
구분 누적 발생(명) 인구100만 명당 누적발생(명) 인구100만 명당 최근 7일간 발생 (’22.1.10.∼‘22.1.16.) 예방접종률(%) (’22.1.16.)
확진자 수 사망자 수 확진자 수 사망자 수 (치명률) 확진자 수 사망자 수 1회 이상 접종 완료
미국 63,846,946 840,983 192,890 2,541(1.3%) 14,164 31.5 74.9 62.5
영국 15,147,124 151,899 223,126 2,238(1.0%) 11,981 27.1 76.4 70.3
프랑스 13,541,053 124,216 208,198 1,910(0.9%) 30,950 22.8 79.3 75.3
독일 7,965,977 115,619 95,783 1,390(1.5%) 5,477 19.7 74.4 72.1
일본 1,852,958 18,431 14,651 146(1.0%) 755 0.2 80.3 79.0
이스라엘 1,792,015 8,318 207,037 961(0.5%) 33,355 5.0 71.8 64.8
한국 692,173 6,310 13,501 123(0.9%) 542 5.3 86.7 84.8


* (예방접종률 기준) 미국 1.15.



2. 1월 3주(1.16.~1.22.) 코로나19 치료 병상 현황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한 2021년 11월 1일(0시)과 비교하면,


1월 22일(0시) 기준으로 총 10,230개의 병상이 확충되었으며, 세부적으로는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이 1,125개, 준-중환자 병상 1,971개, 감염병전담병원 7,134개 확충되었다.


전국의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가동률은 20.4%로 크게 하락, 준중증 및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가동률은 30% 초반으로 안정적으로 유지 중이다.

* ’21.11.1. → ’22.1.22. : (중증) 45.2%→20.4%, (준중증) 60.0%→32.9%, (감염병 전담병원) 51.4%→31.9%


< ’21년 11월 1일 이후 병상 확충 현황 > (단위 : 개)




’21년 11월 1일 이후 병상 확충 현황
구분 ’21.11.1. (0시) ’22.1.1.22. (0시)
보유 사용 (가동률) 보유 사용 (가동률)
중증 병상 1,083 489 45.2% 2,208 (+1,125) 451 20.4%
수도권 667 390 58.5% 1,576 325 20.6%
비수도권 416 99 23.8% 632 126 19.9%
준중증 병상 455 182 60.0% 2,426 (+1,971) 797 32.9%
수도권 276 204 73.9% 1,790 604 33.7%
비수도권 179 69 38.5% 636 193 30.3%
감염병 전담병원 10,056 5,172 51.4% 17,190 (+7,134) 5,477 31.9%
수도권 4,655 3,265 70.1% 8,793 2,148 24.4%
비수도권 5,401 1,907 35.3% 8,397 3,329 39.6%



1주전(1.15.0시)과 비교하면, 1월 22일(0시) 기준으로 총 2,049병상이 확충*되었고, 세부적으로는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이 428개, 준-중환자 병상 362개, 감염병전담병원 1,259개 확충되었다.


* (1.15.0시) 19,775병상 → (1.22.0시) 21,824병상


중증 및 준-중증 병상은 ’22년 1월 1일부터 1월 22일(0시기준)까지 1,637병상을 추가 확보하여, 계획한 목표량(1,578개*)을 달성하였다.


* 일상회복 위기극복을 위한 추가병상 확충 및 운영계획(’21.12.22.발표)


전국의 병상 가동률(주간 평균)은, 1월 2주(1.9.~1.15.)에 비해 중증 병상은 15.4%p 하락, 준중증 병상은 6.9%p 하락,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은 1.2%p 하락하였다.


* 1월 2주→1월 3주 : (중증) 41.6%→26.2%, (준중증) 40.4%→33.5%, (감염병 전담병원) 31.2% → 30.0%


< 주간(토~일) 주차별 병상 가동률 현황 > (단위: 개, %)




’21년 11월 1일 이후 병상 확충 현황
구분 ’21.11.1. (0시) ’22.1.1.22. (0시)
보유 사용 (가동률) 보유 사용 (가동률)
중증 병상 1,083 489 45.2% 2,208 (+1,125) 451 20.4%
수도권 667 390 58.5% 1,576 325 20.6%
비수도권 416 99 23.8% 632 126 19.9%
준중증 병상 455 182 60.0% 2,426 (+1,971) 797 32.9%
수도권 276 204 73.9% 1,790 604 33.7%
비수도권 179 69 38.5% 636 193 30.3%
감염병 전담병원 10,056 5,172 51.4% 17,190 (+7,134) 5,477 31.9%
수도권 4,655 3,265 70.1% 8,793 2,148 24.4%
비수도권 5,401 1,907 35.3% 8,397 3,329 39.6%

※ 해당일 0시 기준. , 1월 3주 수치 변동 가능성 있음



< 1월 3주(1.16.~1.22.,0시 기준) 일일 병상 가동률 현황 > (단위 : %)




1월 3주(1.16.~1.22.,0시 기준) 일일 병상 가동률 현황
구분 1.16.(일) 1.17.(월) 1.18.(화) 1.19.(수) 1.20.(목) 1.21.(금) 1.22.(토)
중증 병상 31.8 32.3 28.0 25.5 23.4 21.9 20.4
수도권 33.1 33.6 28.7 25.6 23.4 22.3 20.6
비수도권 29.2 29.4 26.3 25.3 23.4 21.0 19.9
준중증 병상 36.2 36.8 34.8 31.1 31.4 31.4 32.9
수도권 37.0 37.9 36.0 30.9 31.3 32.2 33.7
비수도권 34.3 34.0 31.9 31.7 31.8 29.2 30.3
감염병 전담병원 28.8 30.0 28.9 29.2 30.2 30.9 31.9
수도권 23.5 24.1 23.0 22.9 23.8 24.0 24.4
비수도권 34.5 36.5 35.4 36.1 37.3 38.2 39.6


3. 월 3주 코로나19 확진자 및 위중증 환자 발생 현황



1월 3주(1.16.~1.22.,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환자는,


일일 평균 5,471명(국내발생 5,160명)으로 1주 전(1월 2주) 3,854명(국내발생 3,529명) 대비 증가하였다.


- 세부적으로는 국내발생 확진자가 대폭 증가(3,529명→5,160명, +1,631명)했으며, 해외유입 확진자는 소폭 감소(325명→311명, -14명)하였다.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1월 22일(0시) 433명으로, 확연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 일평균 확진자 수(국내발생) : 1월 2주 3,529명 → 1월 3주 5,160명(+1,631명)
* 일평균 확진자 수(해외유입) : 1월 2주 325명 → 1월 3주 311명(-14명)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규모 : 12월 4주 1,054명 → 12월 5주 1,095명 → 1월 1주 932명 → 1월 2주 732명 → 1월 3주(1.16.∼1.22.기준) 517명


< 1월 3주(1.16.~1.22.) 발생 현황 > (단위 : 명, 건)




1월 3주(1.16.~1.22.,0시 기준) 일일 병상 가동률 현황
(단위 : 명) 1.16.(일) 1.17.(월) 1.18.(화) 1.19.(수) 1.20.(목) 1.21.(금) 1.22.(토)
신규확진자(전체) 4,191 3,857 4,070 5,804 6,601 6,767 7,009
(국내발생) 3,813 3,551 3,761 5,430 6,355 6,481 6,729
(60세 이상) 431 402 368 479 603 574 567
% 11.3 11.3 9.8 8.8 9.5 8.9 8.4
(18세 이하) 1,005 1,023 1,112 1,460 1,586 1,612 1,737
% 26.4 28.8 29.6 26.9 25.0 24.9 25.8
재원중인위중증자 612 579 543 532 488 431 433
입원 457 454 463 682 668 626 720
사망 29 23 45 74 28 21 28
총 검사 건수 297,361 244,939 460,867 475,800 497,858 563,445 530,214


※ 해당일 0시 기준.



4. 설 연휴 전 신속한 3차 접종 필요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주 앞으로 다가온 설 연휴를 대비하여 2차접종 완료 후 3개월이 경과한 대상자들께서는 적극적으로 3차접종에 참여해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면역원성 연구 결과)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군*을 대상으로 3차접종 후 오미크론과 델타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중화능을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 3개군 모두에서 3차접종 후 2~3주 경과 시 오미크론과 델타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중화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59세의 건강한 성인 중 ①Pf 단일접종, ②AZ/Pf/Pf 교차접종, ③AZ/AZ/Pf 교차접종 총 3개군 대상


- 특히, 오미크론주에 대한 중화항체가는 접종 전 대비 10.5~28.9배 증가하였고, 델타변이주에 대해서는 14.3~21배 증가하였다.


- 이번 조사를 통해 3차접종이 오미크론 및 델타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중화능을 크게 증가시킨 것을 확인하였으며, 3차접종을 통해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방어력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60세 이상 확진자 감소) 코로나19 감염시 중증, 사망 위험이 높아 12월 집중접종기간을 통해 신속하게 3차접종이 진행되었던 60세 이상 고령층은 접종률이 증가(현재 접종률: 인구대비 84.7%, 1.23일 0시 기준)함에 따라 확진자 중 비중이 지속 감소함을 알 수 있다.


* 최근 5주간 확진/위중증/사망 중 60세 이상 연령층 비중(명,%)




최근 5주간 확진/위중증/사망 중 60세 이상 연령층 비중(명,%)
구 분 12.2주 12.3주 12.4주 12.5주 1.1주 1.2주
60대이상 확진자 명(비중) 14,243(33.5) 14,641(30.5) 10,878(25.5) 6,831(21.0) 4,076(16.6) 3,127(12.7)
60대이상 위중증 명(비중) 672(83.2) 803(85.0) 890(84.4) 908(83.0) 754(80.9) 585(80.0)
60대이상 사망자 명(비중) 380(94.8) 409(98.8) 503(94.5) 419(93.3) 341(94.5) 268(90.8)


- 위중증 및 사망 비중은 큰 변동이 없는 상황이나 최근 4주(’21.12.12.~’22.1.8.) 간 확진자 중 60세 이상 연령층의 예방접종력 분포를 확인하면 3차접종 완료군의 경우 60세 이상 위중증 환자의 2.6%, 사망자의 2.8%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 60세 이상 3차 미접종자에 대한 접종이 지속 요구된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1월 1주차 확진자에서 예방접종력에 따라 중증 진행을 평가한 결과, ‘미접종 확진군’에 비해 ‘3차접종 후 확진군’*은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0.8%, ‘2차접종 후 확진군’도 80.2%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 즉, ‘미접종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11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5배 높게 나타나, 돌파감염 등으로 접종 후 확진되는 경우에도 3차접종까지 마친 경우에는 2차접종까지 시행한 경우에 비해 중증진행 예방효과가 보다 크다는 점이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아직까지 18-59세 연령층의 3차접종률은 60세 이상 고령층에 비해 증가 속도가 빠르지는 않으나, 접종 간격이 도래한 대상자들께서 꾸준히 접종받고 있다.


18-59세 연령층의 인구 대비 3차접종률은 40%를 넘었으며, 1월말까지 접종간격 3개월이 도래하는 대상자 대비로는 50%를 바라보고 있다.


* 18-59세 연령층 3차접종률: 인구 대비 44.5%, 1월말 기준 접종간격 도래자 대비 52.1%(1.23일 0시 기준)


현재 국내 오미크론 변이는 매우 빠른 확산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회활동이 활발한 청장년층이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전파력이 보다 높아질 수 있어 18~59세 연령층에게도 3차접종은 선택이 아닌 필수 접종이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오미크론 변이에도 여전히 효과적인 대응수단으로, 2차접종 완료 후 3개월이 경과한 18~59세 연령층은 설 연휴 전 적극적으로 접종에 참여해주실 것을 당부드린다.



< 붙임 > 감염병 보도준칙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