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년 된 회현2시민아파트… ‘남산 랜드마크’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꼭 설치… 울주 관광·경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일해공원’ 명칭 변경이냐, 존치냐… 공론화 속도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클럽에 ‘물뽕’ 자가검사 스티커… 서울시, 유흥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속초·묵호항 지역경제 ‘효자’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강원도 속초항과 묵호항이 동해안 지역경기 활성화의 주역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12일 동해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지난해 동해시 묵호항에서 배를 타고 울릉도와 독도를 여행하고, 속초항을 통해 러시아 자루비노와 중국 백두산을 여행한 이용객이 2005년에 비해 42%가 증가한 18만 6587명에 이르렀다.

항로별로는 연안항로인 묵호항∼울릉도∼독도를 찾은 관광객이 2005년에 비해 56% 증가한 20만 1182명이었다. 국제항로인 속초항∼자루비노∼블라디보스토크를 이용한 여행객은 2005년보다 12%가 증가한 6만 4118명으로 나타났다.

日 영유권 주장뒤 독도행 부쩍 늘어

울릉도·독도항로의 이용객 증가는 지난해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등으로 독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폭되면서 폭발적으로 늘었다. 이용객이 늘면서 해양수산청은 이곳에 여객선(씨플라워1호·403명 정원) 한 척을 더 늘려 하루 왕복 2회 운항했다. 인터넷 예약시스템 활성도 이용객 증가에 한몫 했다. 비수기이자 동절기인 현재는 주말에는 1차례씩만 운항하고 있다.

백두산 여행·외국인 취업자 왕래도 잦아져

국제항로인 속초항을 통해 러시아와 중국으로 오가는 이용객도 크게 늘어났다. 항로가 개설된 2000년 초창기의 보따리상 위주에서 최근에는 러시아를 통해 중국 훈춘과 백두산을 여행하려는 여행객들과 러시아 등 외국인 취업자들의 왕래가 잦아졌다.

속초항을 통한 이용객이 늘면서 운항 선박도 지난해 1만 2961t급(뉴동춘호·644명 정원)으로 규모가 큰 배로 교체됐다. 이곳 국제항로는 매주 정기적으로 월·목 2회 속초항을 출발하고 있다.

속초항을 통해 러시아와 중국으로 오가는 수출입 물동량도 크게 늘었다. 지난 한 해 동안 물동량만 7730TEU(컨테이너)로 2005년 6302TEU보다 23% 늘었다.

수출물량은 주로 중고자동차(30%)와 의류원자재(30%), 건축부자재인 석면(20%), 과자류·면류·스낵류 등 식품류(20%)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수입품은 조개 등 수산물과 고사리·약제 등 임산물, 의류 완제품 등이 대부분이다.

동해안 도로 여건 대폭 호전

이들 가운데 특히 최근에는 중고자동차와 건축물부자재가 러시아로 대량 수출되면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동해지방해양수산청 정헌철 해무계장은 “고속도로와 국도 등 수도권과 통하는 동해안의 기간 도로망 여건이 좋아지면서 이용객과 물동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 동해안 경제를 살리고 있다.”면서 “여객수송시설 강화와 여객 편의시설 확충, 항로 답사 및 승선 점검 지속 실시, 항로 다변화 등을 통한 경쟁체제 구축 등을 통한 고객 만족서비스 제고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늘어나는 이용객과 물동량에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속초·동해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2007-1-13 0:0:0 8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