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년 된 회현2시민아파트… ‘남산 랜드마크’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꼭 설치… 울주 관광·경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일해공원’ 명칭 변경이냐, 존치냐… 공론화 속도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클럽에 ‘물뽕’ 자가검사 스티커… 서울시, 유흥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LEET 난이도 높았다…추리논증 고득점 변수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올 법학적성시험 분석·전형

지난달 22일 전국 13개 고사장에서 일제히 치러진 올해 법학적성시험(LEET)의 난이도가 지난해보다 다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이해 영역과 논술은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쉬웠다는 반응이 많았다. 하지만 추리논증 영역이 매우 어렵게 출제돼 고득점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문도 예년보다 길어져 시간 부족을 호소하는 수험생들이 많았다.


하지만 LEET 성적은 반영요소 가운데 하나일 뿐 로스쿨 입학을 좌우하는 절대적 요소가 아니다. 때문에 수험생들은 시험성적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말고 부지런히 정보를 탐색해 합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LEET 시험은 이번이 세 번째다. 그만큼 기출문제 풀(pool)이 적고 난이도 또한 점치기 힘들다. 지난해에는 언어이해와 추리논증이 무난했던 반면 논술이 어렵게 출제돼 수험생들의 발목을 잡았다. 올해도 변별력 유지를 위해 논술이 어렵게 출제되리라는 관측이 많았지만 의외로 추리논증이 복병으로 등장했다.

☞<정책·고시·취업>최신 뉴스 보러가기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관계자는 “이번 추리논증 영역에서는 로스쿨 도입 목적을 고려해 법 관련 제재를 다수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국제 정치(10번), 국제 경제·범죄 심리(24∼27번) 등 법률 친화적인 내용이 다수 포함돼 애를 먹은 수험생들이 많았다.

응시생 김모(27)씨는 “가채점 결과 13개가량 틀린 것으로 나온다.”면서 “모의고사를 칠 때보다 더 많은 문제를 찍었다.”고 울상을 지었다.



앞으로 출제방향은 논증보다는 추리에 방점이 찍힐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번 3회 시험에서 추리관련 문제는 총 35문항 가운데 25개가 출제된 반면 논증 관련 문제는 총 10문항 출제에 그쳤기 때문이다. 일등로스쿨 관계자는 “1회 시험에서 두 부문은 50대50의 비중을 보였지만 시험이 거듭될수록 추리 관련 문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추리 부문에서 수리추리나 논리게임 관련 문제가 줄어들고 있는 것도 특징”이라고 분석했다.

LEET 시험이 마무리됐지만 수험생들의 도전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대학별 전형요소 반영비율을 따진 뒤 자신에게 유리한 대학을 선별해야 한다.

LEET 성적 반영 비율이 가장 높은 로스쿨은 제주대와 충남대다. 이들 로스쿨은 각각 66.7%와 63%씩 반영하며 경희대·부산대·중앙대는 60% 이상, 강원대·아주대·한양대는 50% 이상을 반영한다. 30% 이하로 반영하는 로스쿨은 고려대(25%), 서강대(30%), 서울대(27%), 서울시립대(30%), 연세대(19%), 이화여대 ‘가’군(25%), 인하대(26.7%), 전남대(29%) 등이다.

이화여대 ‘나’군은 서류평가 반영률이 33%로 로스쿨 가운데 가장 높다. 이 밖에 고려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연세대 등도 1단계 선발에서 서류심사를 전형요소로 채택하고 있다.

1단계 선발에서 학부성적 반영률이 가장 높은 로스쿨은 중앙대(40%)와 동아대(37.5%)다. 경북대, 동아대, 서강대, 서울대, 이화여대, 중앙대, 충북대, 한국외대 등도 30% 이상 학부성적을 반영한다.

이재연·남상헌기자 oscal@seoul.co.kr
2010-09-02 24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