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공공부문 일자리 분석
중앙부처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일하는 ‘공무원’ 신분의 직원들은 전체의 3분의1이 20년 이상 근무한 경력자들인 반면, ‘비(非) 공무원’ 신분의 비정규직 등은 70%가 근속 3년 미만이어서 둘 사이의 고용 안정성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회복지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 일자리는 전체의 2%도 채 안 된다.
|
정부기관(중앙·지방) 안에서도 공무원과 비공무원의 고용 안정성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공무원의 62.2%가 10년 이상, 34.7%가 20년 이상 장기근속 중인 반면, 비공무원의 70.3%는 3년 미만 근무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은희훈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근속 기간이 1년 미만인 비공무원이 39.5%, 1~2년 미만이 25.1%로 조사됐는데 대부분 계약 기간이 2년인 비정규직으로 추정된다”면서 “통계에 포함되지 않은 파견 청소노동자 등 간접고용 인력까지 포함하면 비공무원의 직업 안정성은 더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일반정부 일자리는 기능별로 편차가 컸다. 전체 199만개 가운데 교사, 교육행정직 등 교육 분야 일자리가 34.6%인 68만 8000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일반 공공행정직 일자리가 31.4%(62만 5000개)를 차지했다. 군인, 군무원 등 국방 일자리(12%·24만개)가 세 번째로 많았다. 공공질서와 안전 분야에 해당하는 경찰·소방직 일자리는 정부 일자리의 9.7%인 19만 3000개로 집계됐다. 사회복지사 등 사회 보호 분야 일자리는 1.9%인 3만 8000개에 그쳤다.
이와 관련, 정부는 청년에게 질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공공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차원에서 소방관, 경찰관,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부사관, 근로감독관 등 국민 안전과 치안, 복지 서비스 공무원 일자리를 5년간 17만 4000개 늘린다고 밝힌 바 있다. 국회에 제출된 추가경정예산안에도 하반기에 이 분야 공무원 1만 2000명을 추가 채용하는 계획이 담겼다.
이번 통계는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을 추진하는 새 정부의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처음 개발됐다. 통계청은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를 올해 정책실명제 중점 관리 대상사업 24개에 포함시켜 수정·보완할 방침이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6-14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