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6년 결성된 이후 독거노인들에게 전화를 통해 사랑을 전달하는 자원봉사단체 ‘서초 사랑의 소리’ 창립멤버이자 지금도 가장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이명희(51·여)씨의 말이다. 소외된 이웃에게 ‘천사의 목소리’로 다가가는 이씨의 모습에서 ‘아줌마의 힘’이 엿보인다.
●가정을 위한 결정이 사회를 향한 첫걸음
가정주부로서의 역할에만 충실하던 이씨가 자원봉사활동에 눈을 뜨게 된 계기는 이대교육원 카운슬러전문과정에 등록한 지난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사춘기에 접어든 남매를 건전하고 건강하게 키우는 것이 사회에 이바지하는 길이라고 생각해 아이들과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 늦은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과정을 수료하자 학원폭력 문제가 부각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이씨가 몸담은 청소년폭력예방재단은 1995년 당시 학원폭력으로 외아들을 잃은 김종기 현 명예이사장이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다니던 직장까지 그만두고 사재를 털어 설립한 단체이다.
그러나 곧이어 이씨의 관심이 청소년에서 노인으로 옮겨지는 사건이 발생한다.1995년 겨울 서초구 방배동에서 한 독거노인이 사망한 뒤 20여일이 지나서야 발견된 것. 그는 “당시 청소년문제에 비해 노인문제가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다고 느꼈다.”면서 “이 사건을 계기로 서초구가 1996년 1월 독거노인들에게 전화를 통해 말벗이 되어주는 자원봉사단체를 결성한다는 소식을 듣고 주저없이 지원했다.”고 밝혔다.
●10년, 강산은 변해도 마음만은 그대로
‘서초 사랑의 소리’ 자원봉사팀은 관내 독거노인 한분 한분에게 매일같이 안부전화를 걸고 있다.10여년간 통화 횟수만 9만 7410통.“처음에는 전화를 받은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오랜기간 외로운 생활을 하신 탓에 마음의 문을 열지 않아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봉사라는 생각보다 대화 자체에서 즐거움을 찾게 됐다.”고 말했다.
현재 20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때론 자식처럼 때론 전문상담가처럼 독거노인들의 가장 가까운 이웃이 되어 주고 있지만, 이 기간 동안 변함없이 참여하고 있는 봉사자는 이씨가 유일하다.“어제까지 전화를 드렸던 어르신과 오늘부터는 대화를 나눌 수 없는 안타까운 경우가 종종 일어나기 때문에 한번 맺은 인연을 먼저 끊을 수 없더라고요.”라고 덧붙였다.
자원봉사자들은 전화 외에도 독거노인과 일정기간 전화통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해당지역 동사무소에 알려 확인을 요청하고, 노환·질병 등으로 간호가 필요하면 보건소나 ‘119’에 인계하고 있다. 또 해마다 된장·간장 나누기와 김장김치 담가주기 등 각종 나눔행사도 벌이고 있다.
●代이은 자원봉사
이씨의 이같은 활동은 자녀들에게 영향을 미쳐 최정아(28·여)·상준(25) 남매도 자원봉사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일부러 시킨 것도 아닌데…. 아무래도 말보다 행동이 아이들에게 더 많은 의미를 전달해주는 것 같아요.”라며 미소지었다.
이씨는 자원봉사활동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시작’이라고 강조한다.“자원봉사활동을 내가 할 수 없는 거창하고 힘든 일로 생각하거나, 책임감을 지나치게 많이 느껴 시작조차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면서 “내가 할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참여하면 나눔의 큰 기쁨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초 사랑의 소리’ 참여 및 문의는 (02)570-6490.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