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7시 막을 올리기 훨씬 전인 6시를 조금 넘기자 관객들이 밀려왔다. 꼬마에서부터 노인까지 나이를 불문하고 사랑을 보태려는 이들은 1200여명이나 됐다. 예약판매한 입장권 1000장으로 객석 800자리가 모자라 간이의자 200여개를 마련했으나 입석 관람객들이 늘어나면서 행사 담당자들은 의자를 잇달아 들여와야만 했다.
‘쓰나미’의 무자비한 장면이 스크린에 비치면서 “바다가 덮쳐와 뛰어보지만 힘이 빠져요. 엄마, 보고 싶어요….”라는 동남아 어린이의 말이 들려오자 관람석에서 흐느끼는 장면까지 보여 코끝이 찡하게 만들었다. 합창단을 포함해 60여명의 출연진은 행사의 뜻을 살리기 위해 저마다 갈고 닦은 솜씨를 맘껏 쏟아냈다.
특히 ‘네 손가락 피아니스트’ 이희아(20)양은 언제든,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불행 속에서도 꿈을 버리지 않는 한 꿋꿋이 일어설 수 있다는 굳은 다짐을 시민들에게 심어줬다.
8시20분쯤 선천성 ‘사지기형’ 장애인인 희아양이 두 무릎으로 걸어나와 영화음악 ‘러브스토리’와 베토벤의 ‘환희의 송가’를 연주하자 곳곳에서는 길고도 짙은 탄성이 새나왔다.
희아양은 자신의 무대가 막을 내렸는데도 끝까지 자리를 지켜 또 다른 감동을 남겼다.1부 마지막 순서로 ‘코요테’가 나와 ‘빙고’를 부를 땐 함께 신바람나는 춤으로 희망을 얘기했다. 합창단이 관객과 어우러져 ‘사랑으로’를 부르며 작별을 고할 때도 손을 맞잡고 밝은 미래를 노래했다.
음악회에서는 많게는 최고 1000만원에 이르는 특별성금을 합쳐 8000여만원을 모았다. 출연자들도 기꺼이 자원봉사자로 나서 사랑의 무대를 빛냈다.
희아양은 “말로 못다할 정도로 힘들겠지만 난민들이 바다 건너편에도 이웃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얼른 평화를 되찾았으면 한다.”며 웃어보였다.
글·사 진 송한수 기자·유근환 시민기자 onekor@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