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양시 소재 국립수의과학검역원(원장 박종명)은 축산물에 대한 검역을 통해 각종 가축 전염병의 국내 유입을 차단하는 등 국경없는 전쟁을 치르고 있는 곳이다. 국내 축산식품 위생 및 안전성 관리와 첨단수의과학기술개발도 검역원의 몫이다.
1998년 출범한 검역원은 본원과 전국을 연결하는 5개 지원,14개 출장소를 두고 있으며 수의직 264명과 연구직 115명 등 모두 518명이 근무하고 있다.
비중이 가장 큰 업무는 수출·입 동물과 축산물에 대한 검역·검사이다. 상대국에서 발행한 검역증명서를 통해 수입금지 지역산 여부 및 위생조건 준수여부 등을 확인한 뒤 관능검사와 정밀검사를 실시한다. 여행객의 화물에 대해서도 검색과 검역이 이뤄진다.
특히 육류나 햄, 소시지, 치즈 등 각종 수입축산식품에 대해서는 병원성 미생물·유해잔류물질 등 안전성 정밀검사를 실시한다. 이같은 검역과정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축산물은 즉시 반송되거나 소각 또는 매몰시킨다.
고기를 비롯한 소시지, 햄, 우유 등 각종 축산식품의 안전성을 책임지는 위생관리 업무도 담당하고 있다.
사육단계부터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도록 농가지도를 실시함과 동시에 생산에서부터 유통·판매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예방적 차원의 위생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판매과정에서 오염·변질을 막기 위해 각 지원에 축산물위생 감시 전담반을 설치해 도축장과 가공장, 판매업소를 수시로 점검하고 있다.
검역원은 지난 2000년과 2002년 발생한 구제역과 같은 가축 질병이 재발하지 않도록 신속하고도 정확한 방역체계를 구축해 놓고 있다. 긴급 상황 발생시 신속히 대응할수 있도록 ‘24시간 가축방역대책상황실’을 연중 운영하고 구제역, 조류독감, 돼지콜레라 등 주요 가축질병 취약지역을 선정해 집중관리하고 있다. 검역원은 이밖에 가축전염병 방제기술 개발을 비롯해 첨단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한 돼지콜레라 백신개발, 환경오염물질 분석기법을 개발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검역원은 일반인들의 견학도 가능하다.33개 연구실에는 세포의 미세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전자현미경을 비롯해 다이옥신·환경호르몬 분석장비 등 3억∼4억원대의 고가 장비가 즐비하다. 소비자 및 생산자 단체나 대학생들이 많이 찾는다.
박종명 원장은 “축산물의 위생 및 안전성 여부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만큼 최고의 수의과학 전문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수원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