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콜릿을 만들어 인터넷을 통해 판매하는 주부 정은희(31)씨는 한때 남들과 다를 것 없는 평범한 여학생이었다. 단국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할 무렵, 일반 회사에 취직하거나 공무원이 되는 게 대학 동기들의 일반적인 진로였고, 정씨도 공무원 시험을 준비했다.
14일 수제 초콜릿 제작·판매 사이트 ‘트뤼… 14일 수제 초콜릿 제작·판매 사이트 ‘트뤼플즈’ 정은희 사장이 영등포구 양평동의 작업장에서 직접 만든 케이크를 들어 보이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
●대학 나와 제과제빵학과 입학
첫 번째 시험에 떨어지면서 그는 달라졌다. 남들이 한다고 해서 따라해서는 안되겠다는 확신이 섰기 때문이다. 먹는 것에 관심이 많았던 정씨는 세종대학교 제과제빵학과에 새로 들어갔다.‘적당한 회사에 들어가 평탄하게 살아가다 결혼하라.’는 부모님의 바람을 뒤로한 채, 그는 ‘험한 일’에 도전했다.
부모님의 우려는 졸업 후 6군데의 회사를 전전하면서 현실로 나타났다. 새벽 4시부터 밤 9시까지 끼니를 거르면서 쉴새없이 일했지만 한 달에 들어오는 수입은 고작 40만∼50만원 수준이었다. 대학을 나왔지만 남과는 다른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탓이었다.
“한국 음식은 한국에서 배워야하듯, 빵이나 초콜릿은 본토에서 배워야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씨는 힘들여 모은 돈을 들고 캐나다로 떠났다. 정통 유럽식 요리법을 가르치는 ‘르코르동 블루’를 다니면서 유명 초콜릿 숍을 찾아 일자리를 구했다. 그들만의 ‘비법’을 익히기 위해 밤낮없이 공부하고 일했다.
2003년 한국으로 돌아온 정씨는 경력을 인정받아 유명 제빵회사에서 신제품 개발 등을 맡아 일했지만 무언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게다가 결혼을 앞두자 일을 그만둬야 했다.
●결혼뒤 다시 유학길 올라
“주부가 됐지만, 이루지 못한 꿈을 포기할 수는 없었습니다. 저만의 기술을 가지고 제대로 승부하고 싶었죠.”
새내기 주부 정씨는 신혼의 달콤한 생활을 접고 영국 유학길에 올랐다. 남편과는 전화도 제대로 하지 못하며 일년간 초콜릿 숍에서 초콜릿 만드는 기술을 익히는 데 매달렸다.‘이 정도면 자신 있다.’는 자신감을 안고 지난해 귀국, 창업을 준비했다.
흔하지 않은 재료를 찾아 헤매며 준비를 마친 올 2월, 드디어 인터넷에 수제 초콜릿 제작 및 판매 사이트(www.truffles.co.kr)를 열었다.‘과연 누가 찾아올까?’라는 걱정이 무색하게 방문자수는 눈에 띄게 늘었다. 애써 구한 재료와 수년에 걸쳐 익힌 기술이 ‘맛’에서 제대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독특한 맛·상대적 저렴한 가격이 경쟁력
정씨의 초콜릿을 찾는 사람들은 “대중화된 초콜릿과는 다른 맛을 느낄 수 있는데다, 강남 등 고급 초콜릿 숍의 수제 초콜릿보다 가격이 싸다.”는 점을 높게 평가했다. 입소문을 타고 주문이 늘어나자 토목기사인 남편의 후원을 받아 인근 아파트 상가에 5평 남짓한 작업장도 마련했다.
설탕이 들어있지 않은 원료를 사용해 ‘다이어트 초콜릿’을 선보인 정씨는 지금도 자신만의 제품을 개발하는데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재료를 엄선하고 기술을 개발해 앞으로 유기농 초콜릿 등 더욱 차별화된 제품으로 승부하겠다는 전략이다.
“몇년전만 해도 우리나라에 유기농 야채를 먹는 사람은 드물었지만 지금 많은 사람들이 유기농을 찾고 있지 않아요?고급화되는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초콜릿을 계속 선보일 것입니다.”
정씨는 아직도 꿈꾸는 소녀다. 그녀만의 초콜릿 브랜드를 키우고, 힘들게 익힌 기술을 많은 사람들에게 전수하고 싶다는 것.“앞으로 아이도 낳아야 할 텐데 가능하겠냐.”는 질문에 “직장을 거부하고 내 일을 시작한 이유가 오히려 거기에 있다.”고 강조했다.
정씨는 “결혼을 하고 애를 낳고도 당당하게 내 뜻대로 일하고 싶었다.”면서 “직장 여성이 애를 낳으면 눈총받고 당연히 나가야 하는 게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풍토 아니냐.”는 뼈있는 말을 던졌다.
서재희기자 s123@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