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에 박은 듯한 사고방식은 하품을 만들어내기에 제격이다. 무언가 새로운 게 없을까, 무언가 재미있는 게 없을까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누구나 자기의 삶이 즐거운 생동감으로 가득 차기를 바란다.
하지만 문제는 일상이다. 아들은 매일 학교에 가서 판에 박은 수업을 해야 하고, 아버지는 같은 노선 버스를 타고 매일 같은 직장으로 출근해서 어제와 같은 일을 반복해야 하고, 어머니는 집안 청소에 빨래에 찬거리 준비에 그렇고 그런 일을 반복해야 한다. 학생이 공부를 하고 가장이 출근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그 당연한 일이 때로는 힘겹고 버겁게 느껴진다.
어떻게 일상의 단조로운 리듬을 깰 수 없을까. 일상을 만들어내는 규칙, 가령 일찍 일어나라, 열심히 일해라, 복장을 단정히 해라, 아껴 써라 등과 같은 규칙들을 뒤집어 단 며칠만이라도 지긋지긋한 일상에서 빠져나갈 수는 없을까. 그런 궁리 끝에 인간이 만들어 낸 것이 축제다. 축제는 모든 것을 뒤집는다. 조선시대의 탈놀음을 보라. 천한 백정이 양반을 나무라고 조롱한다. 축제가 아니면 어림도 없다. 학교 축제에서는 학생들이 교장선생님을 풍자하기도 한다. 그러나 교장선생님은 껄껄 웃으신다. 축제가 아니라면 학생부에서 단단히 본때를 보여주었을 텐데 말이다. 일상적인 것을 뒤집는 축제는 단조롭기만 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축제를 통해 사람들은 일상으로 복귀할 힘을 얻는다.
그렇다면 일상은 단조롭고 따분하기만 한 것일까. 늦게까지 학교에서 자율학습을 하다가 집에 돌아가면 나를 맞아주는 어머니의 모습을 보라. 언제나 평범 그 자체다. 스타의 화려함도 없다. 매일 수수한 차림이다. 밥을 해주고, 교복을 세탁해주는 어머니의 노동은 표가 나지도 않는다. 시계추처럼 일터를 오가시는 아버지의 노동 또한 마찬가지다. 그러나 우리 부모님의 위대함은 단조로움울 인내하는 마음에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농부의 위대함이 씨를 뿌리고 김을 매고 수확을 하는 그 단조로운 노동 속에 있듯이. 영화 ‘스모크’에서 담배가게 주인 오기랜은 매일 의미없이 흘러가는 시간을 사진에 담아내는 일을 취미로 삼는 인물이다. 오전 8시 브루클린 거리. 그는 같은 시간 같은 거리를 무려 12년 동안 같은 프레임 속에 담아냈다.‘다 똑같은 사진이잖아.’라고 퉁명스레 말하던 주인공 폴은 그 사진들 속에서 총기사고로 죽은, 살아있을 때의 자신의 부인을 발견한다. 그리고 오열한다. 일상의 시간을 벗어난 비일상의 시간, 즉 축제의 시간이 즐거운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매일 똑같이 흘러가는 일상의 시간을 무가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문제는 그 일상 속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새롭게 해석하고 바라볼 수 있는 우리의 지혜에 달려있는 것은 아닐까. 웨인 왕 감독, 하비 케이틀·윌리엄 허트 주연,1995년작.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