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성남시교육청에 따르면 내년 3월 민간사업자가 건물을 짓고 교육청이 임대료를 지급하는 임대형 민자사업(BTL)방식의 공립중학교 3곳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첫 임대중학교는 샛별중학교(분당구 수내동)와 도촌중(분당구 도촌동), 수진중(수정구 수진동) 등 3곳으로 내년 2월 첫 신입생을 7,15,9학급씩 배정받는다.
●민간업체가 경비 등 학교관리
이들 학교의 특징은 경비를 포함한 교내 모든 시설물의 관리를 민간업체가 맡는다는 것이다. 나무의 관리에서부터 화장실 청소, 전기 등을 포함한 모든 시설물의 관리를 학교가 아닌 민간업체가 도맡아 처리하게 된다. 교내경비 또한 전문업체가 맡게 돼 학교폭력 등 각종 사고예방에도 도움을 주게 된다.
●흙벽돌, 태양열 외등 등 친환경시설
시설면에서도 기존의 학교들과 차별화 된다. 건축자재가 모두 친환경제품으로 대체되고, 학교 내 태양열을 이용한 외등이 설치되는 등 첨단 시설들이 동원된다.
학교의 건립에는 교육청이 제공하는 부지를 제외한 건축비로 모두 270억여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흙벽돌을 건축자재로 사용한다.
이 가운데 샛별과 수진중학교는 숲으로 둘러싸여 도로에서 건물이 보이지 않게 설계된다. 또 급당 학생수는 현재 39∼40명 수준에서 35∼36명 수준으로 낮아져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20년후 교육청에 소유권 이전
임대방식이지만 20년간 교육청이 임대료를 지급한 뒤 소유권은 민간사업자에서 교육청으로 이전된다.
임대료에는 건축비와 사용료, 관리비가 포함돼 학교별로 연간 4000만∼5000여만원을 지급하게 된다.
교육청관계자는 “예산부족으로 차질을 빚는 학교시설 설립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성남 윤상돈기자 yoonsang@seoul.co.kr
2007-11-13 0:0: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