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속 녹색힐링… ‘수락 休 자연휴양림’ 5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관악, 블랙아이스 사고 예방 총력전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서초구, 첫 개방형 제연 흡연시설 운영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구로, 소외된 이웃에 ‘설 선물꾸러미’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光州 “지반·부지… 과학벨트 최적지” 주장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정부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1차 후보지 선정이 한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지방자치단체 간 유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25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정부는 곧 과학벨트 입지평가위원회를 열어 유치전에 뛰어든 132개 비수도권 지자체를 대상으로 적정성 등을 평가한 뒤 1차 5개 지역을 후보지로 압축한다.

이어 새달 중으로 ▲연구기관·산업기반 집적도 ▲정주여건 ▲부지확보 용이성 ▲ 접근성 등 세부평가를 거쳐 늦어도 6월 이전에 최종 후보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호남권과 경북권은 연구기관의 분산 배치를, 충청권은 집중 배치를 각각 바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광주시는 지반의 안정성과 부지 확보 용이성을 장점으로 내세우며 정부 관계자 등을 설득하고 있다.

광주시는 과학벨트의 핵심 요소인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설 거점지구의 입지 선정에 이 분야가 필수적 요소란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실제로 광주·전남에는 1978년 기상관측 이래 리히터 규모 4.0 이상의 지진이 단 한 차례도 발생하지 않았다.

광주시는 부지 확보 경쟁력도 갖추었다고 주장했다. 과학벨트 4곳의 후보지 중 광산구 평동 군부대 포사격장 일대의 땅값을 3.3㎡당 1만~1만 5000원으로 제시했다.

무안국제공항 30분, 광주공항 10분, 송정역 8분, 지하철 5분 등 접근성에서도 좋은 편이다. 광주시 조사 결과 이미 조성됐거나 조성 중인 산업단지의 부지 매입 비용(3.3㎡당)은 ▲대구 사이언스파크 28만원 ▲울산 하이테크밸리 36만원 ▲경남 진주 정촌 산업단지 23만원 선이라는 것이다.

광주·전남 지역사회의 과학벨트 유치 열기도 확산되고 있다. 각 기관·단체 등이 최근 ‘300만명 서명 운동’에 돌입, 현재 74만여명의 서명을 받았다.

아울러 광주시는 광주·전남에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중이온 가속기를 세우고, 대구와 대전에 제2, 3캠퍼스를 분산 배치하는 ‘내륙삼각벨트’ 방식 채택을 정부에 촉구해 왔다.

강운태 광주시장은 “과학벨트 유치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면서 “평가 과정에서 객관적인 심사기준과 지반의 안정성, 예산절감 방안 마련 등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11-04-2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