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다리는 지난해 7월 삼랑진청년회가 “이 지역에 다리가 존재한다.”며 시공 회사와 시청에 민원을 제기해 현장 조사를 벌인 끝에 발견됐다.
지난해 10월 한국문물연구원의 입회조사에서 처자교 유구를 확인한 데 이어 3월 28일부터 정밀 발굴조사를 벌이고 있다.
발굴된 처자교는 낙동강으로 흐르는 지천 위에 쌍무지개 형태로 세워진 석조 다리로 규모는 폭 4.5m, 길이 26m다. 1530년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해 여러 역사문헌에 기록돼 있으며 1690년 9월 중수한 기록이 있다.
최영준 고려대 명예교수는 “조선시대 왕의 명령이 지방으로 하달되고 행정문서가 오가던 영남대로는 이른바 ‘왕의 길’로 지방에서 이런 수준의 다리가 나온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밀양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11-05-14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