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 만에 130m ‘두둥실’… 장난감 도시 같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청년 창업가 몰리는 관악S밸리… 미래가 가장 빨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전국 초1 ‘늘봄학교’… 우울·불안 겪는 국민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어촌 정착 첫걸음, ‘전남 귀어학교’ 인기몰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고래잡는 사람들 이야기’ 책으로 나온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포경선만 여성선원 허용 포수는 ‘장인’ 지위 보장

‘1930년대 중반 울산지역 어부들은 일본의 포경선을 타고 남극 해역에서 극한의 추위와 싸우면서 고래를 잡았다.’

1976년 울산 장생포 주민들이 항구에서 포경선에 잡혀 온 길이 23m의 참고래를 구경하고 있다.
울산 남구 제공

허영란(47) 울산대 역사문화학과 교수가 오는 4월 출간 예정인 ‘고래바다 울산, 고래포구 장생포’(가제)라는 책에 수록된 내용이다. 허 교수는 사라져가는 우리나라 근대 포경의 역사를 재조명하기 위해 2009년부터 2년간 포경선 선장과 선원, 고래고기 유통업 종사 자 등 18명을 직접 만나 들은 얘기와 자료를 엮어 책으로 출간한다. 허 교수는 “우리나라 근대 포경은 1899년 울산 장생포에서 시작됐으나 관련 자료가 너무 없다.”면서 “어떤 사람이 어떤 방식으로 고래를 잡았고, 포경이 지역사회와 나아가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을 미시적으로 살펴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허영란 교수, 근대 포경역사 재조명 책 4월 출간

그는 “근대 포경은 일본 자본으로 시작했으며 1930년대 중반 어부 수십명이 하급선원으로 일본 포경선을 타고 고래기름(연료)과 고래고기(식량)를 확보하기 위해 남극에서 고래를 잡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들은 1940년대 일본 홋카이도에서 고래를 잡기도 했다는 게 허 교수의 설명이다. 특히 허 교수는 어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포경선만 여성 선원 탑승을 허용했다고 말했다. 그는 “고래잡이 배는 한번 출항하면 4~5개월 조업을 했기 때문”이라면서 “당시에는 상당히 파격적인 일이었다.”고 강조했다.

●참고래 1마리, 1920년대 쌀 300가마 값

그는 또 “1900년대 초부터 1960년대까지 울산을 비롯한 동해에는 길이 20m가 넘는 대형 참고래와 귀신고래가 많이 잡혔다.”면서 “1920년대 참고래는 1마리에 최소 5000원으로 당시 쌀 300가마 정도에 해당하는 값에 팔렸다.”고 말했다. 참고래는 1982년 8월 장생포 출신 고 이승길(포경선 포수)씨가 울산 근해에서 22m짜리 한 마리를 잡은 것을 마지막으로 자취를 감췄다.

‘바다 로또’ 밍크고래는 당시 울산 연안에 많았지만 채산성이 낮아 잡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껍질이 두껍고 지방이 많은 귀신고래는 기름을 짜는 데 주로 사용됐다. 그는 “고래고기는 냉장 수단이 부족해 울산과 가까운 도시인 부산, 포항, 대구 등에서 많이 소비됐고, 그 중 부산에서 가장 큰 인기를 누렸다.”면서 “고래잡이 포수는 포경선에서 독보적인 장인의 지위가 보장됐다.”고 말했다.

울산 박정훈기자 jhp@seoul.co.kr

2012-02-03 14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