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인증 ‘안심 고시원’에 냉난방비 최대 70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어린이 ‘안전 통학로’ 팔 걷은 성동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다양한 악기, 신나는 공연, 흥겨운 서초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옆 부서 야근시간 빌려올 판”… 초과근무 제약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10명 중 1명 원주민과 갈등… 귀농 적응 이중고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식수 이용에 물탱크 설치비 따로 내라… 담장 쌓으니 농로 막는다고 ‘눈총’

2011년 단양군 영춘면으로 귀농한 A씨는 주민들과 갈등을 빚다 결국 마을을 떠났다. 마을 고지대에 설치된 물탱크에서 물을 끌어다 쓰는 게 문제가 됐다. A씨는 매달 수도세만 내면 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주민들의 생각은 달랐다. 물탱크를 설치할 때 주민들이 돈을 걷었다며 그만큼 A씨도 돈을 내라는 것이었다. A씨는 이 문제로 주민들과 등을 돌렸고, 결국 귀농의 꿈을 접었다.

농촌으로 이주한 도시민들이 마을 주민들과 갈등을 겪는 사례가 적지 않아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25일 충북 단양군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다른 지역에서 전입한 19세 이상 113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10명 중 1명이 마을주민들과 갈등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가장 많은 38.2%가 갈등의 원인으로 ‘귀농·귀촌인에 대한 선입견과 텃세’를 지적했고, ‘집이나 땅 문제 등 재산권 침해(23.7%)’, ‘농촌사회에 대한 이해부족(14.5%)’, ‘마을 모임의 참여문제(5.3%)’ 등이 뒤를 이었다.

실제 단양지역에선 이주민과 원주민 간의 갈등이 빈번하고 있다. 어상천면 등 일부 마을에서는 이주한 도시민이 집을 지으며 담장을 설치해 한때 마을이 시끄러웠다. 주민들이 이용하던 농로를 막았기 때문이다. 법적으로 이주민의 땅이었지만 주민들은 이를 이해하지 못했다.

결국 면사무소가 중재에 나서 가까스로 타협점을 찾았다. 한 마을에선 이장에게 주민들이 걷어주는 수고비가 문제가 되기도 했다. 도시에서 이주 온 B씨가 ‘이장 수고비 금지조항 신설’을 국민권익위원회가 지자체에 권고했다는 얘기를 듣고 돈을 내지 않자 주민들이 마을의 관습이라며 돈을 내라고 따진 것이다.

사정이 이렇자 단양군이 올해 전입자와 마을주민 간의 화합을 유도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주민들의 고충 처리를 위해 부군수를 단장으로 한 귀농인 지원협의회를 구성하고, 전입자와 주민들이 화합행사를 개최할 경우 예산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군 주민자치위원회 안동오 도시민분과장은 “이주민들과의 갈등이 끊이지 않다 보니 귀농·귀촌인들이 안 왔으면 좋겠다는 주민들도 있다”면서 “도시민들에게 농촌현실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이 강화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선규 군 귀농·귀촌협의회장은 “마을의 어른인 이장들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선 가장 많은 18.1%가 전입 장애요인으로 주거문제를 꼽았다. 일자리 부족(16.8%)과 문화·의료복지 부재(13.9%)도 전입장애 요인으로 지적됐다. 확충이 가장 시급한 시설은 보건의료시설(50.6%)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뒤를 이어 공영주차시설(12.1%), 사회복지시설(10.5%), 국공립어린이집(5.6%) 순으로 조사됐다.

단양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13-02-26 16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