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지구 지정 후 7년 만에
경기 수원시의 대표적인 노후 건축물 밀집 지역인 팔달구 고등동 일대에서 이달부터 전국 최대 규모의 재개발 사업이 시작된다. 2006년 사업지구 지정 뒤 부동산 경기 침체와 일부 주민 반대 등으로 사업이 중단되는 등 진통을 겪었다. 하지만 염태영 수원시장이 주민을 설득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선 덕에 사업이 7년 만에 재개됐다. 사업 방식은 주거환경 개선사업으로 진행되는데 건설사와 조합이 추진하는 민간 재개발 방식과 달리 지방자치단체나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의 공공기관이 진행하는 준공공 재개발 방식이다.
|
고등지구는 6064가구가 거주하는 수원의 구시가지로 2006년 12월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로 지정됐으나 부동산 경기 침체와 LH의 자금난 등으로 사업이 한때 중단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8000여억원을 들여 건물과 토지를 매입한 LH는 철거 작업을 연말까지 마친 뒤 내년부터 2016년까지 모두 4906가구의 아파트를 지을 계획이다. 토지, 건물 소유자와 세입자 등에 대한 분양 물량이 3874가구, 임대주택이 1032가구다. 고등지구는 수원비행장 고도제한구역에 포함돼 용적률 200%, 15층 이하로 건물을 지어야 한다.
거주민의 96.3%인 5839가구는 이주했지만 아직 225가구가 보상 등을 요구하면서 이주를 거부해 철거 과정에서 마찰이 예상된다. 시와 LH는 이들을 임대주택에 입주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관련해 염 시장은 최근 고등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주민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주민들은 “고등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와 재개발지구의 공사를 조속히 추진하고 고충을 해결해 달라”고 주문했고 염 시장은 “주민들이 원하는 쪽으로 진행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염 시장은 “고등지구가 그동안 고도 제한 등 불리한 사업 여건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달부터 철거 작업을 시작으로 사업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