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조사 거쳐 석면 해체 철거… 학생들 건강·안전 지키기 앞장
수원시는 4일 수원교육지원청·한국환경공단과 ‘녹색 상생 협약식’을 가졌다. 시는 이번 협약으로 학교석면 퇴치를 위한 예산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연차별, 단계별 로드맵에 따른 안전관리망도 만든다. 1단계로 전문 기관에 의뢰해 학교 건물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2단계 석면관리를 위한 유지보수, 3단계 석면 해체 및 철거 등 교육환경 개선 사업을 벌인다. 수원교육지원청은 종합적인 행정·예산 지원을, 환경공단은 석면관리 컨설팅과 기술자문 등을 맡는다.
시 관계자는 “학교석면 건축물의 유해성으로부터 학생 안전과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안전관리망을 구축하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3개 기관이 공동체 의식을 갖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석면이 10~15% 함유된 슬레이트 건물 철거사업도 벌인다. 1960~1970년대 지붕 개량 때 많이 쓰였다. 가구당 최대 288만원을 지원한다. 공공기관 건물에 대해서는 유해성 평가를 거쳐 내년부터 자재를 바꾼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