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센터 전문-보편 복지팀 분리 맞춤형 상담·현장방문 업무 집중
복지업무를 전담하는 주민생활지원팀을 전문복지팀과 보편복지팀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전문복지팀은 긴급 지원과 사각지대 발굴, 보편복지팀은 장애인·노인·여성 관련 업무를 맡는다. 상도1동과 대방동 주민센터에서 시범 실시한 뒤 차차 15개 동 전체로 확대한다.
사회복지직 6급이나 경력이 많은 사회복지직 직원을 복지 코디네이터로 주민센터에 배치해 맞춤형 전문 상담을 실시한다. 중증 장애인이나 독거노인 가정을 직접 찾아가 민원을 처리하는 복지 민원 방문접수 처리 제도도 도입한다.
업무의 집중도를 높이도록 주민생활지원팀이 떠맡았던 공공근로, 환경, 보건 관련 업무도 행정민원팀으로 옮겨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구청의 고유 업무를 분명히 함으로써 주민과 맞닿은 비슷한 업무라는 이유로 흔히 주민센터에 미루곤 하던 관행도 없앤다.
구 조직도 개편한다. 사회복지과에 주거복지팀을 신설하고 주민생활지원과 통합조사팀과 통합관리팀을 복지조사관리팀으로 통합했다.
올 하반기 기초연금 시행으로 인한 업무량 증가에 대비해 주민센터 복지 담당 인력을 현재 66명에서 최대 26명까지 우선 증원한다. 구에서도 주민생활지원과 등에 7명을 충원한다.
문충실 구청장은 “최근 잇달아 터진 저소득층의 자살은 우리 사회복지 제도를 근본적으로 되돌아보게 한다”며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고 늘어나는 수요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층 더 애쓰겠다”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4-03-11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