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측 댐 건설후 임진강 수량 급감… 전국 유일 가뭄지역 농번기 비상
파주 가뭄 사태가 심각하다. 현재 전국에서 유일한 가뭄 지역이다. 북한이 임진강 상류에 황강댐을 만들어 물을 가두면서 임진강 수량이 줄어든 것이 이유다. 황강댐에 대응해 우리나라가 지은 군남댐에 물을 가두면 되지만, 철새들의 보금자리인 하천 여울이 사라지기 때문에 환경보호론자들의 반대가 거세다. 물을 가둘 수도 없고, 안 가둘 수도 없는 ‘딜레마’에 빠진 셈이다.
|
올해 북한이 수십 년 만에 최악의 가뭄을 맞으면서 경기 북부 지역도 영향권에 들었다. 파주, 연천, 포천, 철원 등의 올해 강수량이 평년 강수량의 50%에 못 미치는 심한 가뭄을 겪고 있다. 그나마 임진강 상류에 위치한 연천, 포천, 철원 등은 임진강에서 농업용수를 끌어 쓰고 있지만 하류에 있는 파주는 방법이 없다.
임진강 하류의 물은 조석 간만의 차가 큰 서해와 합쳐져 밀물 때는 최대 염분 농도가 3000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농업용수로 쓸 수 없다. 염분농도가 500이 넘으면 어린 모가 삼투압 현상에 의해 죽는다. 임진강 물을 이용하는 공덕양수장은 물 공급을 멈춘 상황이고, 임진양수장은 염분 농도가 낮은 시간에만 제한적으로 급수를 하고 있다.
올 들어 지금까지 파주 지역의 강수량은 96㎜로 최근 13년 평균(203㎜)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그나마 지난 주말에 비가 온 결과다. 이날까지 전국의 평균 강수량은 평년의 94.1% 정도지만 경기는 60.1%에 불과하다. 파주에는 5200㏊의 논이 있고, 통상 5월 15~25일에 모내기를 한다. 다음달 16일이 모내기를 할 수 있는 ‘데드 라인’이다.
문제는 파주 지역의 가뭄을 해갈시킬 원천적인 방법을 찾기 힘들다는 점이다. 2008년 북한이 임진강 상류에 황강댐을 세우자 정부는 여름 홍수 때마다 예고 없이 수문을 열 것에 대비할 필요가 생겼다. 정부는 2010년 6월 황강댐에 대응해 임진강 하류에 군남댐을 지었다. 단, 홍수 공격에 대비한 군사적인 목적의 댐이었기 때문에 물을 채우지 않는 것을 전제로 지었다.
황강댐 건설 이후 극심한 가뭄이 처음으로 찾아오면서 비홍수기에 물을 채울 필요가 생겼지만, 물을 채우면 철새들이 살고 있는 환경이 변하게 된다. 환경단체들이 군남댐에 농업용수를 채우는 데 반대하는 이유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우선 국토교통부나 환경부 등 정부 내 의견은 군남댐에 농업용수를 채우는 것으로 조율된 상황”이라면서 “이달 말 농어촌공사와 수자원공사가 실무 협의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세종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4-05-16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