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적체 해소 차원” 해명 불구 檢과 마찰·권력투쟁설 등 분분
감사원 산하 방산비리 특별감사단을 이끌던 문호승(56) 감사원 제2사무차장이 특감단 출범 2개월도 안 돼 돌연 사표를 내자 이런저런 뒷얘기가 무성하다. 특감단과 별도로 방산비리 관련 정부합동수사단을 운영하고 있는 검찰과의 마찰설부터 감사원 내부의 권력투쟁설까지 나온다.
|
문호승 감사원 제2사무차장 |
그러나 서울대 상근감사 자리는 문 사무차장처럼 잘나가는 1급이 갈 곳이 아니라 국장급 퇴임 자리인 데다, 1급 단장 자리를 과장급이 대행하는 꼴이어서 감사원 인사의 난맥상을 드러냈다는 지적이다. 또 관행에 따라 금융권 감사 자리를 원했던 문 사무차장 본인도 서울대에 가지 않으려고 얼마간 버텼다는 말이 내부에서 새어 나온다.
감사원은 검찰 합수단이 출범한 지 사흘 만인 지난해 11월 24일 방산비리 특감단을 별도로 편성하면서 자칫 수사와 감사의 충돌, 행정력 낭비가 아니냐는 등의 지적을 받은 바 있다. 검찰이 6개 정부기관에서 105명을 끌어모아 대대적으로 방산비리 수사에 나서자 감사원은 별도의 내·외부 인력 62명으로 특감단을 꾸린 것이다. 그러면서 1993년 ‘율곡비리’ 감사를 통해 장관·장성급 6명을 구속시킨 서울 출신의 문 사무차장(행시 28회)을 방산비리 적발의 적임자로 소개하기도 했다. 아울러 문 사무차장이 박근혜 정부 출범 후 22개월째 감사원 사무총장을 맡고 있는 경남 진주 출신의 김영호(54) 사무총장과 그리 ‘밀착된 관계’가 아니기 때문이라는 내부의 수군거림도 청와대를 불편하게 하고 있다.
김경운 전문기자 kkwoon@seoul.co.kr
2015-01-1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