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림·난곡선 통해 교통정체 해소
“주민들의 생활이 바뀌지 않는 행정과 발전은 의미가 없습니다. 랜드마크 빌딩을 세우는 것보다 길을 뚫고 교통망을 개선하는 게 중요한 이유입니다.”민선 5기 동안 유 구청장은 작은 도서관과 평생교육 프로그램 등 지식 복지사업을 통해 주민들의 생활을 바꾸는 일에 힘을 쏟았다. 그 결과 관악구는 ‘책 읽는 도시’의 대명사로 자리를 잡았다. 이 때문에 유 구청장은 외형보다 내실을 다지는 구정의 대표 주자가 됐다. 그랬던 그가 이번에는 하드웨어인 경전철과 도로 개통을 역점 사업으로 삼은 이유가 뭘까.
유 구청장은 “하드웨어 중심, 소프트웨어 중심이란 게 의미가 없다”며 “결국 주민들의 생활을 바꾸는 행정이 중요한 것 아니겠느냐”고 되물었다. 그는 이어 “관악구의 가장 큰 약점은 교통이다. 지하철 2호선과 남부순환로가 있지만 상습 정체 등으로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며 “신림선과 난곡선, 서부선 등 경전철 사업을 빨리 추진하는 게 주민들의 생활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행정”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추진 속도가 가장 빠른 신림선은 여의도와 관악산을 잇는 8.92㎞ 구간으로 하반기 착공, 2019년 완공 예정이다. 유 구청장은 “우리 구에 5개 역이 설치되는데 신림선이 완공되면 주요 업무지구인 여의도와 바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지하철 1·2·7·9호선과 환승이 가능해 말 그대로 사통팔달 교통망의 기초가 다져지는 것”이라며 “여기에 내년 강남순환도로, 2017년에 신봉터널이 완공되면 도로교통 상습 정체도 해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교통 환경도 중요한 복지”라고 덧붙였다.
유 구청장은 “도시의 혈맥인 도로·전철이 뚫리면 지역개발과 발전은 자연스럽게 따라온다”면서 “신림사거리와 난곡사거리, 시흥IC사거리를 지구단위계획으로 재정비해 주변에 대형 업무시설과 문화시설이 들어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민선 6기 동안 지속적으로 펼칠 장애인 복지사업을 위한 진형도 정리됐다. 관악구는 이달 장애인복지정책팀과 장애인자립지원팀, 장애인시설팀으로 구성된 장애인복지과를 별도로 신설했다. 유 구청장은 “올해 장애인복지관 조성을 위해 131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며 “지식 복지에 이어 장애인 복지에서도 우리 구가 메카가 되게 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