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방 귀촌인 13%뿐… 수도권 인구 지방 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日오염수 문제 잊혔지만 고물가에 지갑 안 열어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추석연휴 30만명 제주로… 1000만명 눈앞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조선 최고관청 ‘의정부’ 터 시민품으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제7차 세계 물 포럼 개최] “스마트 물관리 기술 세계시장에 홍보…기업·물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지원도”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최계운 수자원공사 사장

“세계 물포럼 개최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뛰어난 물관리 기법을 세계에 홍보하고, 국내 기업의 해외 물시장 진출이 확대될 것입니다.”

최계운 수자원공사 사장
‘2015 대구·경북 세계 물포럼’ 개최 막바지 준비로 바쁜 최계운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을 만나 행사의 의의와 국내 물산업 과제를 들어봤다.

→수자원 공기업의 최고경영자로서 세계 물포럼 개최 의의는.

-물포럼은 세계의 물 관련 이해관계자가 모여 지구촌 물 문제 해결책을 논의하는 자리다. 동시에 개최국은 자국의 물산업을 홍보할 수 있는 세계 최대 물축제다. 아시아에서는 일본에 이어 우리나라가 두 번째 개최국이다. K-Water를 비롯한 국내 기업의 수자원관리 기술이나 물산업이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는 것을 인정해주는 행사라는 점에서 뿌듯하다.

→이번 행사에서 수자원공사가 맡은 역할도 크다.

-수자원 공기업으로서 물포럼 유치 단계부터 앞장섰다. 공동 주최기관으로서 포럼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주요 프로그램 기획 운영 및 지원, 포럼세션 전사적 참여, 엑스포 홍보관 운영, 병물 등 필요 물품 등을 제공하고 있다. 새로운 물관리 패러다임인 ‘스마트 물관리 기술’을 글로벌 물 시장에 소개하는 일도 중요하다. 나아가 국내 기업들과 세계 물 전문가들의 네트워킹도 구축해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

→물포럼에서 소개될 K-water의 주요 기술과 경험은 무엇인가.

-기존의 물관리에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스마트 물관리(SWMI)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 기술은 새로운 창조경제의 모델로서 물문제 해결책을 제시하고 물관리 분야의 혁신을 이끌 것으로 확신한다. 홍보관에서는 정보통신 기반으로 수자원 데이터를 실시간 통합 관리하는 K-water 물관리센터 운영 실태를 확인할 수 있다. 취수원에서 각 가정의 수도꼭지까지 수돗물이 공급되는 모든 과정을 과학적으로 관리해 안심하고 수돗물을 마실 수 있는 ‘건강한 물’ 생산 과정도 체험할 수 있다.

→세계 물포럼 개최 이후 어떤 효과가 기대되나.

-국가 및 대구·경북지역의 브랜드 가치가 올라간다. 물산업이 한 단계 발전하면서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된다. 국민들이 물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해 물 문제 해결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국내 물값이 왜곡됐다는 지적도 많다.

-국내 물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물산업에 대한 활발한 투자와 시장규모 확대가 선행돼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전국 물값이 원가의 78% 수준에 불과해 시설개선과 과학화 등을 위한 투자재원 확보와 시장 활성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국내 시장규모로는 기술개발 및 첨단시설 도입 등 국제적 수준의 물산업 여건 마련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인적자원의 확보 또한 어렵다. 중장기적으로 국내 물시장 육성과 해외진출을 위해서라도 물값 현실화가 절실하다.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건강한 물 공급 사업 추진계획도 궁금하다.

-지난해 파주에서 시범사업을 벌였다. 수돗물 직접 음용률을 1%에서 19%로 향상시키며, 건강한 수돗물에 대한 신뢰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파주시를 스마트 워터 시티(Smart Water City)의 브랜드 도시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 중이다. 상수도 업무를 수탁운영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건강한 물 패러다임을 전국적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K-Water가 개발하고 있는 송산그린시티, 부산에코델타시티 등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04-10 2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