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명인·명물을 찾아서] 토종 물고기 보존하고 우리 농어민 보듬는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국내 제1호 경북 의성 토속어류산업화센터

 우리 강에서 토종 물고기들이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갈수록 수질오염이 심각해지고 큰입배스, 블루길 등 외래종이 토종 생태계를 크게 파괴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서(水棲) 생태계의 무법자인 외래어종들은 우리나라 전 수역에서 빠른 적응력으로 왕성한 번식 활동을 하고 있다.


경북 의성군에 있는 토속어류산업화센터는 수질오염 등으로 갈수록 사라지는 토종 물고기들을 보존하면서 산업화를 추구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연구소다. 참갈겨니.
의성군 제공


토속어류산업화센터 전경
의성군 제공


각시붕어 
의성군 제공

 최근엔 강원도의 한 저수지에서 사람까지 공격하는 무시무시한 아마존 식인 물고기인 피라니아와 레드파쿠가 발견돼 주위를 놀라게 했다. 전문가들은 토착화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머지않아 토종 물고기의 씨가 마를 수밖에 없다. 이런 토종 물고기를 보존하고 산업화하는 시설이 최근 경북 의성군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문을 열었다.

 낙동강 지류인 의성 비안면 서부로 위천변에 둥지를 튼 토속어류산업화센터. 경북도가 지난 5월 총사업비 186억원을 들여 완공했다. 도가 내수면의 무한 잠재력과 토속 어류의 산업적 가치를 인식하고 2007년 정부에 국비사업으로 건의해 추진했다. 최근 들어 내수면어업은 종자산업 및 관상어산업으로 연결되고, 농업과 결합한 친환경농업으로 이어지는 등 내수면산업화가 급부상하는 추세다.

 토속 어류는 어느 일정한 지역이나 수역에만 분포하고 원래 그곳에서 서식하는 고유종이다. 일반적으로는 우리나라에만 살고 다른 나라에는 분포하지 않는 자생어종을 지칭하며 특산어종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우리나라 자생어종은 모두 63종이다. 환경부는 이들 어종의 유전자 보호를 위해 해외로 밀반출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대표 어종으로는 학술적 가치가 높은 어름치, 모양과 색채가 아름다워 관상어로 사랑받는 각시붕어, 영화로 유명해진 쉬리 등이 있다.

 이곳은 기존 내수면연구소와는 차별을 두고 토속 어류를 이용해 돈이 되게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국 최초 연구소라고 경북도는 19일 설명했다. 총면적 7만 1700여㎡인 센터에는 실내외 양식시설, 친환경 논 농법을 연구하는 생태양식 시험포, 낙동강 토속 어류 종 보존시설, 정화시설 등을 갖췄다. 민물고기 전문가 8명도 포진했다.

 실내 양식시설은 1·2동(608㎡)이 있다. 1동에는 종묘 생산용 어미 잉어, 붕어, 쏘가리, 비단잉어, 금붕어, 메기 등 물고기 5종 1000마리 정도가 사육 관리되고 있다. 이곳을 관람하려면 반드시 지켜야 할 사항이 있다. 물고기들의 반응을 보기 위해 수조를 발로 툭툭 차거나 손을 수조에 함부로 넣어서는 안 된다. 먹잇감을 주거나 소리를 지르는 행위도 금물이다. 물고기들이 심한 스트레스를 받아 죽거나 산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곳에서는 낙동강 경북구간 700리에서 서식하는 토속 어류 23종을 구경할 수 있다. 새색시처럼 예쁘고 화려하다 해서 이름이 붙여졌다는 각시붕어를 비롯해 아름다운 빛깔과 무늬를 뽐내며 1급수에서 서식하는 쉬리, 칼납자루, 줄납자루, 큰줄납자루, 참중고기, 긴몰개, 참몰개, 몰개, 점몰개, 왜매치, 돌마자, 됭경모치, 참갈겨니, 치리, 참종개, 미유기, 자가사리, 꺽지, 퉁가리, 얼룩동사리, 수수미꾸리 등이다. 대부분 신기한 모습이고 낯선 이름들이다.

 어름치와 꼬치동자개, 흰수마자, 얼룩새코미꾸리, 둑중개, 묵납자루 등 다른 6종의 토속 어류도 낙동강 경북구간에 서식하지만 이곳에는 없다. 각각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사육 관리가 엄격히 제한되기 때문이다. 센터는 환경부로부터 생물자원보조시설로 지정받은 뒤 이들 어류를 전시할 계획이다.

 이처럼 낙동강 경북구간에 많은 고유어종이 사는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다. 경북이 지리적으로 산악지대가 많은 데다 크고 작은 강과 하천이 실핏줄처럼 이어져 어자원이 서식하기에 안성맞춤이기 때문이라고 센터 관계자는 설명했다. 바로 옆 2동(종묘 생산동)에서는 쏘가리, 메기, 미꾸리, 동자개, 대농갱이 등 5종의 물고기 100만 마리 정도가 알에서 깨어나 치어까지 성장하는 과정(채란-수정-부화-자어-치어)을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다. 관람객들에게는 소중한 경험이 아닐 수 없다.

 야외 사육수조(2026㎡)에는 치어와 어미 물고기 150여만 마리가 살고 있다. 관람객들이 수조 가까이 다가서면 물고기들이 한꺼번에 떼로 몰려들어 장관을 연출한다. 먹잇감을 던져 주는 것으로 착각해서지만 금세 알아채고는 흩어진다. 이곳의 치어들은 오는 9월쯤 토종 어자원 보호 등을 위해 도내 다양한 하천과 지류에 방류될 예정이다.

 센터 한쪽 가장자리에는 벼와 메기, 미꾸라지가 공생하는 현장이 있다. 논농사를 지으면서 논에서 미꾸라지와 메기를 함께 키울 수 있는 ‘친환경 논 생태양식 기술’ 개발이 시도되는 곳이다. 논에서 내수면 어종을 벼와 함께 키우면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병해충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벼만 수확하는 단일 경작농가에 비해 5배 이상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을 고려한 기술이다. 벼를 심은 시험포(4198㎡) 6곳에 미꾸라지 4만 4000마리와 메기 2만 마리가 함께 서식하면서 무럭무럭 자라는 모습이 이채롭다.

 센터는 토속 어류 관상어 개발사업 청사진도 보여 줬다. 앞으로 버들붕어, 각시붕어, 감돌고기, 묵납자루, 꼬치동자개, 가시고기, 쉬리, 수수미꾸리 등 10여종을 관상어로 개발해 산업화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관상어 산업 규모는 2009년 2300억원에서 2013년 4090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수입액도 매년 90억원이 넘는 등 도전 가치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권기수 경북도 토속어류산업화센터장은 “방문객들에게 낙동강 경북구간 수계에 서식하는 우리의 소중한 고유어종을 소개하고 그 가치를 일깨워 주는 현장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또한 종묘생산 기술 개발을 통해 외래어종에 잠식당하고 있는 낙동강 생태계를 건강하게 지키고 토속 어류 관상어 사업, 고부가어종 시험 연구 등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의성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5-07-20 20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