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관내 휴가 운동 ‘헛구호’
충북지역 공직 사회에서 메르스로 침체된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지역에서 여름휴가 보내기 운동을 하고 있으나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 상당수 공무원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며 다른 지역으로 휴가를 떠나고 있어서다.
|
하지만 이 운동에 동참하기 위해 휴가계획을 변경하는 직원은 많지 않다는 게 공무원들 얘기다. 이를 반영하듯 지자체들이 후생복지 차원에서 제휴를 맺고 직원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타 지역 펜션 이용률이 100%에 가깝다. 청주시의 경우 강원, 충남, 전북, 경북지역 해안가 등에 있는 21곳의 다른 지역 펜션을 제공하는데 지난달 추첨으로 뽑혀 예약한 직원 122명 가운데 취소하는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충북도에서는 전 직원의 10%에 가까운 324명이 계획대로 총무과가 마련한 타 지역 휴양시설을 예약, 휴가를 보낼 예정이다.
이렇게 엇박자가 생기자 도는 다른 지역으로 휴가를 떠나는 직원들에게 오는 9월 열리는 괴산세계유기농엑스포 홍보물을 나눠 주기로 했다. 예약한 직원들의 휴가를 강제로 막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그냥 보고만 있을 수도 없는 애매한 상황이 발생하자 이들을 활용해 지역 국제행사를 홍보하는 일로 위안을 삼겠다는 것이다.
직원들 사이에선 의견이 분분하다. 메르스 후유증 극복을 위해 다른 지역 관광객 유치에 나서면서 문을 틀어막는 것은 상생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지역 경제를 위해 좋은 취지인 만큼 동참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도의 한 사무관은 “메르스 후유증에서 벗어나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 봐야 하는 것 아니냐”며 “메르스 여파가 워낙 큰 만큼 관내에서 휴가 보내기 운동을 이해 못 할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기소 도 경제정책과장은 “관내에서 휴가 보내기 운동을 무리하게 하면 다른 지자체들을 자극할 수 있어 자율적으로 하고 있다”며 “상당수 직원이 고향을 찾는 등 동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15-07-3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