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승진 가능·여성 친화적 조직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있는 날이면 출근 시간이 늦춰지고, 국어와 영어 듣기평가 시간에는 비행기 이착륙이 금지되는 등 전국이 숨을 죽인다. 전국 60만 수험생이 초·중·고교 12년 동안 갈고 닦은 실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5000만 국민이 힘을 모으는 것이다. 수능이 어려우면 모든 국민이 나서 사교육을 걱정한다. 반대로 쉬우면 또 모든 국민이 나서 “변별력 없는 시험은 안 된다”고 한목소리를 낸다. 교육열이 너무 뜨거운 나머지 수많은 사회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쉬 식지 않는 국민적 교육에 대한 열정과 헌신이 1950년대 국내총생산(GDP) 세계 109위였던 대한민국을 2014년 세계 13위까지 끌어올린 눈부신 발전의 원동력임을 부정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지난 7월 20일 배움에 어려움을 겪는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두드림학교 지원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대전 신탄진초등학교를 방문, 직접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
대한민국을 이끌어 왔고, 또 이끌어 갈 힘인 교육을 뒤에서 밀고 앞에서 끌어 가는 중앙행정기관이 바로 교육부다. 1948년 문교부로 출범해 1990년 교육부, 2001년 교육인적자원부,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를 거쳐 2013년 다시 교육 단독의 부총리급 부서로 개편된 교육부는 인적자원 개발정책과 학교교육, 평생교육 및 학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
교육부 직원들에게는 자기계발의 기회가 많다. 교육부의 업무가 과거처럼 단순 학교행정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교육에 관한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초·중·고 교육제도 및 입학제도의 개선, 고등교육 기본정책 수립 및 시행, 공교육 정상화 정책 수립 및 시행, 지방교육자치제도 기본정책 수립 및 제도 개선, 인재개발 정책 기획 및 총괄 등을 비롯한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인적자원 개발정책 및 학술에 관한 사무를 폭넓게 관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본부 자체의 조직이 상당히 크다. 장관(사회부총리 겸직), 차관 각각 1명 밑에 3개의 실(기획조정실·교육정책실·대학지원실)과 3개의 국(지방교육지원국·평생직업교육국·교육정보통계국), 11관(감사관·정책보좌관·정책기획관·국제협력관·학교정책관·창의인재정책관·학생복지안전관·대학정책관·대학지원관·학술장학지원관·사회협력관) 및 49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 소속기관으로 국사편찬위원회·국립특수교육원·중앙교육연수원·교원소청심사위원회·국립국제교육원·대한민국학술원 등이 있다. 39개 국립대학과 17개 교육청, 유학 등 국외훈련 기관 6개에 국제기구 주재관 13개, 재외교육기관도 71개나 있다. 국내외를 넘나들며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다는 뜻이다. 조직이 크다보니 평균 승진 햇수가 9년이고, 빠르면 6년 만에도 승진이 가능하다. 행시 동기지만 타부에서는 사무관이 교육부에서는 서기관인 경우가 많은 이유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9-1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