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하면 붙겠지’라는 오만, 불합격의 지름길이죠
“오너의 돈을 벌어주는 사기업보다 훨씬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직업이 바로 공무원입니다.”서울시청 인사과의 김준태(29) 주무관은 올해 1월 임용된 시청의 막내다. 서울시 7급 공무원 시험에 합격한 그는 지난 3년을 공무원 시험공부에 바쳤다. 공무원증을 목에 걸기까지 공무원 시험 준비 학원이 몰려 있는 노량진의 원룸에서 살면서 매달 100만원씩 3600만원을 투자했다. 월세와 밥값만 해도 50만원이 넘고 거기에 수강료, 독서실비까지 더하면 수험생활에 대학 등록금보다 많은 돈이 들었다.
서울과학기술대 행정학과를 졸업한 그는 공무원시험에 합격하고 후배들을 대상으로 공무원 시험에 관한 발표를 했다. 직접 도표까지 그려 합격하기까지 공부 과정을 설명한 김 주무관은 “3년간 20번이나 불합격한 이유는 너무 오만했기 때문이었다”고 분석했다.
공무원시험의 어려운 점으로는 높은 경쟁률도 있지만 방대한 공부량도 있다. 행정학 1권 참고서의 공부량이 대학교 3년 동안 전공 공부한 것보다도 많았다.
김 주무관은 수험생활 3년차에 서울시 7급, 국가직 7급, 국가직 9급, 지방직 9급 등 4개의 공무원 시험에 합격했다. 합격한 해에는 친구도 만나지 않고 공부에만 몰두했다. 고기가 먹고 싶어 노량진의 고기뷔페에 두 번이나 혼자 가서 고기를 구워 먹을 정도였다. 국가직 7급은 해양수산부로 발령받았지만 가족과 친구가 모두 서울에 살고 있어 결국 서울시 공무원을 선택했다. 그는 서울시 공무원의 장점으로 ‘다양한 업무와 파급력’을 들었다. 최고 규모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일하는 만큼 교통·문화 등 다양한 업무를 할 수 있고, 업무 규모와 파급력도 커서 공무원으로서 보람도 크다는 것이다.
막내 공무원의 고충은 ‘신입 티’를 아직 못 벗은 것이다. 군대에서 행정병으로 일한 동기들은 훨씬 업무 처리가 능숙하다고 한다. 시청의 선배들은 그가 맡은 일을 대신 해주다시피 하며 친절하게 업무를 가르쳐 주고 일도 많이 도와준다. 국가직으로 정부 부처에서 일하는 동기들이 선배가 불친절하다며 하소연하는 것과 비교하면 행운이라고 씩 웃었다.
“일단 공무원 시험 준비를 시작했다면 목숨 거는 사람도 많으니 마음을 다부지게 먹어야 한다.”
김 주무관이 노량진에서 책상에 코를 박은 많은 공시생(공무원시험 준비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다. 힘든 수험생활 동안 그가 마음을 다스렸던 방법은 일하고 싶은 곳에 직접 찾아가 보는 것이었다. 일요일 운동복 차림으로 서울시청과 국회에 들렀던 김 주무관은 공직자로서의 자세를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었다고 귀띔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5-09-2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