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
인구 1000명당 고혈압 환자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강원, 당뇨 환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전남으로 나타났다. 질환별로 지역마다 편차는 있지만, 주로 노인층이 두터운 수도권 이외 지역에 만성질환을 비롯한 주요 질환자가 몰렸다.
|
이 밖에 치주 질환(373.4명)과 감염성 질환(255.4명)이 가장 많은 지역으론 광주가, 관절염(187.9명)과 간 질환(29.5명)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는 전남이 꼽혔다.
실제로 전북 부안, 경남 의령, 전남 고흥·함평, 전북 순창 등 노인층이 밀집한 농어촌 지역은 1인당 연간 진료비가 다른 지역 보다 많이 들었다. 가장 높은 전북 부안(214만 8000원)은 가장 낮은 수원 영통구(82만 1000원)와 2.6배 차이 났다.
환자는 농어촌 지역에 많지만 인구 10만명당 의사 수는 서울이 270명으로 가장 많았다. 가장 적은 지역은 세종(79명)이었는데, 인구가 적은 신생 광역시인 세종을 제외하더라도 지역별 의사 수 차이는 컸다. 세종시 다음으로 의사 수가 적은 경북(127명)과 울산(131명)은 서울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농어촌의 의료 인프라가 부족하다 보니 환자들은 진료를 받고자 서울 등 대도시로 몰렸다. 다른 지역에서 유입된 환자의 진료현황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33.6%로 가장 높았다. 서울에서 진료받은 환자의 3분의1가량이 ‘원정 진료’를 온 셈이다. 특히 전남은 환자의 18.3%가, 경북은 17.8%가 다른 지역의 의료기관을 이용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10-2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