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매력·동행가든 500곳 돌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강남 주민·문화센터 69곳 간판 ‘새단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쓰레기 무단투기 막는 도봉 CCTV 관제실, 효과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선 고유 작물 씨앗도 대출해 드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톡!톡! talk 공무원] ‘영작문’ 출간 장근섭 경기지노위 상임위원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유학 다녀와도 원어민처럼 말 못 해… 업무 전문성과 영어 연계 노력했죠”

행시 최연소 합격 등 화려한 경력 불구 영어 말하기·작문 기본기 중요성 강조
“자신 하는 일 영어로 말할 수 있어야”

행정고시 35회 최연소 합격부터 미국 조지아주립대 경영학석사(MBA), 베트남 영사, 고용노동부 국제협력담당관·강원지청장까지…. 화려한 경력부터 자랑하나 싶었는데, 착각이었다.

장근섭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상임위원
10일 인터뷰에서 장근섭(46)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상임위원은 예상외로 ‘영작문 기본’ 이야기를 먼저 꺼냈다. 전문 통역사 수준의 실력을 자랑하나 했는데 공직자와 일반인이 어떻게 하면 영어 말하기와 작문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쌓을 수 있는지 자신의 경험을 얘기하고 싶다고 했다. 그는 10년 가까이 주말마다 원어민 강사에게 영작문과 말하기 교정을 받았다고 했다. 고용·노동 현안을 처리하느라 쉴 틈 없이 바쁜 와중에도 시간을 쪼개 영어 공부를 하는 이유가 궁금했다.

장 위원은 “유학을 다녀온 분들이 영어를 잘한다고 해도 원어민처럼 능통하게 할 수는 없지 않으냐”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베트남에서 영사로 근무했지만 업무적인 것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데서 막히는 부분이 많았다”고 운을 뗐다. 이어 “영어다운 표현이 아니다 보니 의기소침해지고 한국어 표현을 늘 하게 돼 앞으로 공부를 더 많이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2013년 ‘말하기 영작문 트레이닝’이라는 책도 펴냈다. 이 책은 한국인이 보다 쉽게 영어를 할 수 있도록 35개의 영어 문장 만들기 법칙을 설명하고 있다. 영어를 잘할 수 있는 비법을 물었더니 “내가 말하고 싶은 문장을 영어로 많이 만들어 보면 맞는 것도 있고 틀린 것도 있다”며 “원어민 강사와 가까이하면서 늘 지도를 받은 것이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기록하는 습관도 필요하다고 했다. 영어 문장과 한국어 문장을 쓰고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한 것이 수만 개에 이른다. 문장이 왜 틀렸는지를 찾고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점을 발견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한다. 장 위원은 “심지어 ‘아름답다’는 표현도 흔히 부사 형태로 썼지만 아무리 예쁘게 표현하려 해도 한국어가 바탕인 투박한 표현밖에 나오지 않았다”며 “공부를 하다 보니 우리말은 부사와 동사 중심인데 영어는 형용사와 명사 중심이라는 것을 자각하게 됐고, 단순히 뜻이 통하는 것을 넘어 좀 더 세련된 문장을 구사하는 데 시간을 많이 투자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주 쉬운 한국어 문장, 누구나 표현할 수 있는 문장을 다양한 영어 문장으로 바꿔 보고 그것이 맞는지 틀리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영어 표현이 늘게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최소한 자신이 하는 일 정도는 영어로 간단하게라도 말할 정도가 돼야 한다”고 했다. 장 위원은 “공무원이라면 누구나 자기가 전문으로 삼는 분야가 있어야 한다”며 “영어든, 노사 관계든, 근로 기준이든 관심을 갖고 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는 것이 본인을 위해서나 조직을 위해서나 모두 좋다고 생각한다”고 조언했다.

장 위원은 인터뷰 말미에 “행시에 합격한 공무원이 누구나 장·차관 같은 최고위 공무원이 되는 시대는 끝났다”고 단언했다. 그는 “나는 기업에서 근로자를 바라보는 시각을 배우기 위해 MBA 과정을 밟았고, 영어를 좋아하다 보니 고용부 업무와 영어를 연계해 활동해 왔다”며 “단순히 학위를 따기 위해 공부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2-1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