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꿈드림’ 200곳… 학교 밖 청소년 3만여명 꿈 찾았다
올해 대학에 입학한 A양은 어린 시절 날마다 어머니와 오빠, 자신을 때리는 아버지를 피해 도망 다녔다. 일곱 살이 되던 해, A양의 삶은 더 힘들어졌다. 아버지의 외도로 부모가 이혼한 후 새어머니가 A양 남매에게 매질을 했다. 결국 A양은 친어머니에게로 갔다. 하지만 고등학교 입학 후 어머니가 큰 사고를 당했다. 눈덩이처럼 늘어나는 병원비와 생계가 감당이 안 됐다. 어쩔 수 없이 학교를 그만뒀다. 이후 한식집, 레스토랑, 공사장 등 일해 보지 않은 곳이 없었다. 아무리 힘들게 일해도 손에 쥐는 돈은 얼마 되지 않았다. A양이 이런 상황에서도 대입을 꿈꾸게 된 것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인 ‘꿈드림’을 알게 되면서부터다.A양처럼 이른바 ‘꿈드림’을 찾은 학교 밖 청소년이 지난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이 센터로 연계된 인원은 지난해 기준으로 3만 6468명인 것으로 누적 집계됐다. 전년도(1만 4953명)에 비해 2만 1515명이 증가한 수치다.
연계 경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육청(학교)이 1만 6910명(46.4%)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비행예방센터 등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 지원체계를 통해 센터로 연계된 인원이 4843명(13.0%), A양처럼 본인 스스로 센터를 찾은 인원이 4733명(13.0%)으로 뒤를 이었다.
김현주 경기 군포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팀장은 “기존에는 법적 근거가 없었기 때문에 학교, 경찰서, 법원 등 공공기관의 협조를 받아 학교 밖 청소년을 발굴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며 “센터 직원들이 공공기관 등을 찾아다니며 일일이 설명하고 부딪혀야 했지만 이제는 자발적으로 조금씩 협조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내 학교 밖 청소년 수가 37만명인 점을 감안하면 더욱 적극적인 ‘발굴’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공공기관과 가족, 친구 등을 제외하면 검정고시 시험장 정도가 사각지대에 놓인 학교 밖 청소년을 발굴하는 통로라고 센터 관계자는 전했다. 또 학업을 중단한 학생들의 개인정보 제공 동의가 없으면 학교 밖 청소년 연계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행정자치부 소관인 지자체 각 주민센터에도 가정방문 시 학교 밖 청소년 발굴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협조를 요청한 상태”라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02-26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