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설계도 빅데이터화 …전국 전기 시설 지도화 작업도
한국전기안전공사는 2014년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했지만 전국구로 움직이는 공공기관이다. 전국 각지의 사무소에 근무하는 2000여명의 직원들이 2300만 가정집을 ‘가가호호’ 방문해 전기 안전점검을 한다.때로는 주말도 없이 일하지만 전기 화재를 완전히 차단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물리적 한계 때문이다.
전기안전공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원격 감시체제를 가동하고 등급제를 도입해 전국의 전기설비를 ‘지도화’하는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원격감시체제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전기안전 플랫폼과 전기화재 위험성이 높은 곳을 통신으로 연결해 전기 공급을 원격으로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전북 정읍의 한 축사에서 겨울철 과도하게 난방을 뗄 경우 과부하 신호를 보내 화재 발생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기설비 등급제는 원격 감시체제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방식이다. 전국의 모든 설비(일반용·자가용 설비)에 대해 노후화 정도를 파악한 뒤 작게는 3단계, 많게는 5단계로 등급을 매기고 등급에 따라 점검 주기를 정한다.
A등급을 받은 설비는 7년에 한 번, D등급을 받은 설비는 해마다 점검을 받게 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적은 인원으로도 전기화재 위험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게 된다.
최종수 전기안전연구원장은 “현재의 점검 방식은 작은 기기 불량에도 불합격을 주게 된다”면서 “이보다는 전체 설비의 노후화를 평가해 교체 시기 등을 명확하게 보여 주는 등급제가 안전을 더 담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공사는 모든 전기 설비의 이력과 설계도를 빅데이터로 축적해 관리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전기안전 블랙박스’로 불리는 플랫폼에 각종 데이터를 입력한 뒤 필요한 데이터를 뽑아 쓰는 식으로 활용하자는 구상이다.
전주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3-31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