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어린이 안전 종합대책
안전사고 사망자 감소 위해 카시트 착용·놀이터 관리 강화어린이 보호구역 표준모델 마련
앞으로 카시트 없이 영유아를 차량에 태우면 6만원 이상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안전검사에 불합격한 놀이터는 강제 폐쇄될 수도 있다.
|
2014년 한 해 동안 어린이 215명이 사고로 숨졌고, 이 가운데 80명이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10명 가운데 4명꼴이다. 정부는 교통사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카시트 착용’을 강화하기로 했다. 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우리나라 6세 미만 어린이의 카시트 착용률은 40%에 그친다. 미국(91%), 일본(60%) 등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안전처 관계자는 “선진국에는 차량에 카시트가 없으면 영유아를 아예 태우지 못하도록 하는 규정도 있다”고 설명했다. 카시트 착용률을 높이기 위해 미착용 시 과태료를 현행 3만원에서 2배 이상 인상하고, 경찰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안전처는 연내에 도로교통법 시행령 개정에 착수할 방침이다.
또 도로교통공단, 한국교통연구원 등의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의 표준모델을 마련한다. 전국에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돼야 하는 2만 1274곳 가운데 실제로 지정된 곳은 74.3%인 1만 5799곳이다.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 중에서도 12.4%는 예산 부족으로 과속방지턱, 폐쇄회로(CC)TV, 반사경, 안전펜스 등이 설치돼 있지 않아 개선이 필요한 상태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04-2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