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정책·기술 전문기관 발돋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1987년 한국전산원으로 출발했다. 이후 한국정보사회진흥원과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을 통합해 2009년 5월 정보통신기술(ICT) 정책·기술 전문기관으로 발돋움했다. 1980년대 초 행정 전산화와 인터넷 보급에 따라 국가정보화를 추진했으며 고속정보통신망 구축, 정보격차 해소, 전자정부 구현 등을 통해 대한민국이 ICT 강국으로 우뚝 서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지난해 7월 대구 및 제주 혁신도시로 이전한 진흥원은 ‘정보화로 사회현안을 해결하고 국가미래를 열어간다’는 목표와 비전으로 창조경제와 정부3.0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먼저 국가 ICT 마스터플랜을 통해 미래사회의 큰 그림을 보여 주고 미래전략 어젠다 발굴, 시범사업 추진을 통해 ICT에 뿌리를 둔 창조경제 정책을 실현하는 게 진흥원의 목표다.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융합사업을 연계할 방안을 찾는 것 역시 진흥원이 할 일이다. 특히 사물인터넷 시대에 대비해 기가인터넷을 확충하고 ICBMS(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보안)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큰 가치가 있다고 진흥원은 보고 있다. 정보화가 진전되면서 장애인이나 고령층, 다문화가정과 같은 취약계층은 소외되기 쉽다. 진흥원은 이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발굴하는 등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보통신 보조기기 개발과 ‘사랑의 그린 PC’ 국내외 보급 등이 대표적이다. 진흥원은 공공부문 개혁의 핵심인 정부3.0 구축을 위해 정부3.0지원본부를 신설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6-05-0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