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은퇴 후 생계 유지 위해 올해 들어 32만 1000여명 늘어
10~40대는 감소세 뚜렷전 연령대의 임시직 증가세가 주춤하고 있지만 유독 60세 이상에서만 임시직이 두드러지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후 단기 일자리를 찾는 베이비붐 세대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26일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전체 임시직은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7만 4000명 증가했지만 12월에는 11만 3000명, 올해 1월에는 1만 9000명으로 증가세가 둔화됐다. 2월에는 9000명이 감소했다.
반면 60세 이상 임시직 증가세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8월에는 9만 5000명 늘었고, 9월에는 10만 4000명, 10월에는 9만 8000명, 11월에는 11만 3000명 증가했다. 12월에는 13만 8000명이 늘었다. 올 들어서도 1월 11만 3000명, 2월 9만 1000명, 3월 11만 7000명이 증가했다.
다른 연령대는 임시직 감소가 뚜렷했다. 전체 임시직 근로자 수가 감소한 2월에는 노동시장 진입 연령인 15∼24세 임시직이 3만 5000명, 40대는 3만 9000명이 줄었다. 50대는 8000명이 늘어나 60대와 비교해 증가세가 미미했다. 3월에도 15~24세 임시직이 2만 4000명 감소하고, 40대도 5만 1000명 줄었다. 50대는 2만 2000명이 늘어나는데 그쳤다.
정성미 노동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주로 은퇴 연령층인 60세 이상이 은퇴 후 소득 보전을 위해 노동시장으로 나왔지만 상용직을 구하기 어려워 임시직으로 가게 된 것”이라며 “평소에는 별다른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채 비경제활동인구로 있다가 단기 일자리가 생기면 취업하는 형태”라고 설명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5-2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