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보육·자기계발 등 이유…30대 男 11% “육아휴직 갈 것”
공공부문 근로자 10명 가운데 1명은 임금이 다소 줄어들더라도 근무시간이 짧은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택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원하는 30, 40대 여성은 절반 가까이가 임금이 20% 이상 줄어드는 것을 감수하겠다고 밝혀 근로시간 단축 욕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
3년 내 전환형 시간선택제 활용을 원하는 3만 1659명 중 39.4%는 임금이 20% 이상 줄어드는 것을 감수하더라도 이를 활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30대와 40대 여성은 각각 전체 조사 대상자의 45.6%와 46.3%가 20% 이상 임금이 줄어드는 것을 감수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단축하고 싶은 근무시간은 ‘2시간 이하’(52.5%), 단축 기간은 ‘6개월∼1년 미만’(38.0%)이 가장 많았다. 이번에 함께 조사한 남성 육아휴직의 경우 초등학교 2학년생 이하 자녀를 둔 30대 남성의 11.3%가 3년 내 육아휴직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공공부문 시간선택제 활용 계획을 수립, 이행하고 실적을 점검할 계획이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6-2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