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先총리’ 철회 후 급류
민주당 내주 초 탄핵안 초안 완성… 국민의당 탄핵추진단 구성·협의국민의당이 ‘선(先)총리 후(後)탄핵’ 방침을 접으면서 삐걱거렸던 야권의 탄핵 시계도 빨라지게 됐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다음주 초까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 초안을 완성하기로 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23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국민의당은 ‘선총리 후탄핵’을 고집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는 “‘선총리’를 가지고 야권 공조가 삐거덕거리는 모습을 보이면 국민이 실망하고 정치권에 자극이 된다”면서 “일단 우리 당도 탄핵을 준비하면서 이번 26일 집회에 당력을 총경주해 당원 동원은 물론 집회에 전력을 다하자”고 밝혔다.
그동안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에 뜻을 같이하면서도 국회추천 총리를 놓고 이견을 보였다. 민주당은 국회추천 총리를 청와대가 거부한 데다 자칫 탄핵보다 총리에게 여론의 관심이 쏠릴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해 탄핵부터 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두 야당의 엇박자가 표면적으로 일단락되면서 본격적인 탄핵 준비도 진행됐다. 민주당의 탄핵추진실무준비단은 이날 첫 회의를 열고 탄핵소추안 초안을 다음주 초 완성한 뒤 학계 및 시민단체와의 긴급토론회 등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최종안을 만들기로 했다. 준비단 간사인 금태섭 의원은 초안 작성 기준에 대해 “일단 (최순실씨 등의)공소장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면서 “결국 직무에 대해 헌법이나 법률이 어긋나야 하는데 위배 사실은 공소장에 주로 들어가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의당도 김관영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탄핵추진단을 구성했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각각 초안을 놓고 협의를 거쳐 단일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다만 국민의당은 김 의원과 민주당 준비단장 이춘석 의원이 29일까지 단일안을 만들자고 합의했다고 말한 반면 민주당은 단일안에 대해서도 노력하자고 했을 뿐 구체적 일정은 합의한 적이 없다며 실랑이를 벌이기도 했다. 이처럼 야권 공조로 탄핵안이 만들어지면 이르면 다음달 2일 본회의에서 표결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6-11-24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