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대 정부청사에 얼굴인식시스템 186대를 들여오면서 들인 비용은 22억 6000여만원에 이른다. 이 때문에 도입 당시부터 뒷말이 많았다. 지문이나 홍채, 정맥 인식 등 구축비가 저렴하고 인식 과정에서 변수가 적은 생체인식 시스템이 얼마든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정부는 기존에 설치된 스피드게이트를 활용하면서도 이용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한 방식은 얼굴인식시스템이라고 강조한다.
17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얼굴인식시스템의 대당 구축비는 1000만원으로 지문 인식(150만원)과 홍채 인식(200만원), 정맥 인식(350만원)보다 3~6배 더 비싸다. 또 표정이나 자세, 조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인식 과정에서 변수가 많은 편이다. 이에 반해 지문은 비용이 저렴하다는 게, 홍채 인식과 정맥 인식은 위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게 장점으로 꼽혔다.
그럼에도 얼굴인식시스템이 선정된 데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 특히 다른 생체 인식 시스템의 경우 단점이 뚜렷했다. 지문인식시스템은 단말기에 접촉해야 하는 만큼 위생적 측면이 걸렸고, 접촉에 따른 거부감도 감점 요인이었다. 아울러 당시 습도에 따라 성능이 저하됨과 동시에 위조도 쉽다는 게 단점으로 꼽혔다. 홍채 인식은 인식기에 30㎝ 이내로 초근접 촬영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다른 정부기관에서 사용하는 사례가 없어 이를 도입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평가도 있었다. 정맥 인식은 처리 속도가 느리고 지문 인식과 마찬가지로 단말기에 접촉해야 한다는 게 단점이었다.
장동욱 행자부 방호안전과장은 “행정직 공무원이 15만 8000명 수준인데 지문이나 홍채, 정맥 등을 수집하기엔 현실적 문제가 있었다”면서 “기존 출입 시스템을 한 단계 끌어올리면 됐기에 얼굴인식시스템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7-03-20 3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