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교육복지 프로그램 참여도는 거점학교와 일반학교간 10%이상 차이가 났으며, 특히 일반학교의 고등학교 학생의 참여율은 57.6%밖에 되지 않아 평균 80%가 넘는 다른 학년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특히,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토하는 기준으로 ‘프로그램을 통한 학교생활태도(학교폭력 및 무단결석 정도) 향상도’를 측정하는데, 고등학교의 경우 최근 2년간 학교폭력발생 비율이 오히려 증가하고, 무단결석 비율도 크게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구덕 의원은 “고등학생의 경우 입시라는 상황이 있다는 핑계로 수 년 간 학생참여율이 저조함에도 교육청은 어쩔 수 없다며 문제 지적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고 강하게 질타하며 교육복지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필요에 맞게 제공되어야 하며,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 학교생활태도 변화가 없다는 것은 그 원인을 학생들 입장에서 찾고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대책방안을 요구했다.
또한, “거점학교와 일반학교 간 만족도가 큰 폭으로 벌어지는 만큼 일반학교 학생들을 위한 교육복지프로그램을 전반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