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 개혁 반대 스승 비판한 윤증
삼전도 치욕이 부른 노·소론 분쟁
파벌 타파 ‘탕평’ 시작의 계기였다
|
조선후기 당쟁 가운데 ‘회니시비’(懷尼是非)는 이런 삼전도의 치욕에 대한 기억이 주요 논점이다. 두 주역인 송시열과 윤증은 원래 사제지간이었다가 훗날 정적이 됐다. 송시열이 회덕(대전)에 살았고 윤증이 이산(논산)에 살다 보니 이들 사이의 논쟁은 ‘회니시비’로 불렸다.
송시열은 북벌의 상징적 존재였다. 이이에서 시작한 서인 학통의 대표 학자이자 조선후기 최고 주자학자였다. 그의 제자 윤증은 왜 스승을 비판했을까. 세간에는 윤증이 부친 윤선거의 묘비명을 송시열에게 부탁했다가 그가 윤선거에 대한 평가를 박하게 내놓자 이에 불만을 품었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윤증은 ‘스승을 배반한 소인배’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 하지만 서인 내 상당수 관리와 유학자가 소론이라는 이름으로 결집해 송시열(노론)을 비난하고 윤증을 지지한 것을 보면 앞의 이유만으로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삼전도의 치욕 이후 송시열과 윤선거가 중심이 된 충청 지역 사림은 북벌 추진 방안을 활발하게 모색했다. 이들은 북벌 추진을 위해 대동법과 균역법 등 제도 개혁이 필요하다고 봤다. 양반과 지주의 양보가 불가피하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다. 그런데 송시열은 북벌의 의리를 내세우면서도 양반과 지주의 기득권을 최대한 지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골몰했다. 이 시기에 그가 제기한 것이 바로 윤휴에 대한 ‘사문난적’ 논란이었다. 윤휴는 유교 경전에 대한 독자적 주석을 통해 주자와는 다른 정치론을 체계화했다. 그는 강렬한 반청 북벌론자였는데 제도 개혁을 통해 양반제와 지주제의 모순을 제거해야만 북벌이 가능하다고 여겼다.
송시열은 윤휴의 제도 개혁 주장을 잘 알면서도 그가 주자를 비판한 것만 강조하며 이단으로 공격했다. 이에 대해 윤선거는 “윤휴의 경전 주석은 작은 일이니 문제 삼을 일이 아니며 그의 제도 개혁론을 수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송시열에게 요구했다. 하지만 송시열은 양반과 지주의 기득권을 양보해 국가 위기를 극복하자는 일부 지배층의 주장을 사문난적 논란을 통해 무마하려 했다.
회니시비가 조정으로 비화된 것은 1684년 송시열의 제자 최신의 상소 때문인데, 이는 윤증의 ‘신유의서’에서 기인했다. 이는 윤증이 스승 송시열을 비판한 편지였다. 윤증은 송시열이 주자학과 북벌 대의를 내세우면서 자신과 견해와 입장이 다른 사람들을 배척한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정국이 교착 상태에 빠지자 소론 측 박세채가 난국을 극복하고자 ‘황극탕평론’을 제기했다. ‘서인만의 나라’를 만들자고 한 송시열에 반대해 파벌에 관계없이 두루 인재를 채용하자는 박세채의 탕평론은 양란 이후 대내외적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정책과 제도를 모색하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었다.
|
김용흠 교수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한국행정연구원 ‘역사 속 행정이야기’ 요약
김용흠 교수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12-18 3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