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수산자원연구소 독도에 치어 1만 마리 방류
|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는 독도 해양생태계 복원 사업의 하나로 부산에서 키운 어린 돌돔 1만 마리를 5일 독도 동·서도 해역에 방류한다고 4일 밝혔다. 사진은 2017년 부산 인근해역에서 돌돔 치어를 방류하는 모습. 부산시수산자원연구소 제공 |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는 독도 해양생태계 복원 사업의 하나로 부산에서 키운 어린 돌돔 1만 마리를 5일 독도 동·서도 해역에 방류한다고 4일 밝혔다.
수산자원연구소는 2009년부터 매년 부산 인근 해역에 돌돔 치어를 방류하고 있으며 그동안 총 226만 마리 방류했다.
이번 독도 방류는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관리공단이 독도 갯녹음(백화현상)의 원인생물인 성게를 제거하고자 천적인 돌돔을 활용하기로 하고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에 협조를 요청하면서 이뤄졌다.
이들 돌돔은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부산 수산자원연구소에서 키운 치어들이다.
부산 수산자원연구소에서 120일 정도 키운 어린 돌돔은 현재 울릉도 저동항에서 현지 바다에 적응하고 있다.
돌돔 치어는 연안의 중층에서 무리를 형성하고 전장 10㎝에 달하면 해조류가 풍부한 연안의 암초 지대에 정착해 생활한다.
돌돔은 새 부리 모양의 강한 이빨을 갖고 있어 성게,소라 등 딱딱한 껍데기도 부수고 내용물을 먹을 수 있다.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 박영식 소장은 “앞으로도 독도 해양생태계 복원을 위해 지속적인 방류사업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